학술논문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이용수 19
- 영문명
- Educational Values of Shin Kyung-rim’s Poetry Read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Producing Poetr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345~38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작품의 생산 맥락에 초점을 맞춘 시 읽기의 실제를 보이고, 그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 읽기의 과정을 넓은 의미의 ‘담화’, 즉 언어 사용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시의 소통 구조에서 ‘화자’에 주목함으로써 시의 생산 맥락에 대한 관심들을 초점화하였다. 이어 교육의 장에 널리 수용된 신경림의 시를 대상으로,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시 읽기의 실제를 보였다. 이러한 논의는 첫째, 문학 소통의 구도 속에서 작품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점, 둘째, 보다 다양한 경로로 작품의 의미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 셋째, 기존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준거를 제공하여 교육 정전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다만 이 논의를 교육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학습 독자에 대한 고려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문학 공동체의 본질적 관계 복원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논의할 가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actice of poetry reading focusing on the context of a work’s creation and examine the educational value of it. To address the goal, first, this study views the process of poetry reading in the aspects of ‘discourse’ in the broad sense, that is, the use of language and focuses on the interests of context about a poetry’s produc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eaker’ in terms of a poetry’s structure of communication. Next, targeting Shin Kyung-rim’s poetry widely adop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reveals the practice of poetry read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a work’s production. This kind of discussion has educational value because first, it allows u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work within the structure of literary communication, second,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meaning of a work through more diverse paths, and third, it makes the canon of education reorganized by suggesting the critical criteria of examination over the previous interpretation.
목차
1. 문제의식
2.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시 읽기의 전제
3.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
4.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