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이용수 22
- 영문명
- Analysis on Changes in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Grammar Textbooks: Focusing on 『Grammar』 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양세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65~9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정 문법 교과서 체제가 마련된 4차 교육과정부터 5, 6, 7차 교육과정, 2009 교육과정, 2011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각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대상으로 삼았다.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의 유형을 추출하기 위하여 주목한 것은 학습자의 목표 지향적인 문법적 사고의 과정, 문법적 수행 경험이다. 사고의 과정은 ‘정보 인출, 개념 이해, 개념 분석, 지식 활용, 메타인지, 자기체제 사고’로 나누고, 탐구 경험 요소는 ‘국어의 체계성, 국어의 기능성, 국어의 관념성’으로 나누었다. 문법 교과의 특성상 국어의 체계성과 관련된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그 중 ‘이해’와 ‘분석’ 과정이 비중이 높다. 이 비율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그 활동을 표상하는 방식은 달라졌다. 그런데 국어의 기능성과 국어의 관념성에 관련된 활동 중 분석과 활용 과정은 작게나마 증가하고 있다. 국어의 체계성과 기능성 측면 모두 7차 교과서보다 2009, 2011 교과서에서 분석과 활용 활동이 줄어든 점이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문법 교과서가 어떤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지를 간접적으로 제시한다는 의미도 함축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grammar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of each 『grammar』 textbook from 4th curriculum though 5th, 6th and 7th to 2009 and 2011 curriculum were examined. Learners’ goal-oriented grammatical thinking process and grammatical performance experience were highlighted to abstract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grammar textbooks. The thinking process was divided into ‘information retrieval,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nalysis, use of knowledge, meta-cognition and self-system thought’, and factors of exploratory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systemicity, functionality and ideality of Korean language’. Some activities related with systemicity of Korean language largely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subject. Among them, the portion of ‘understanding’ and ‘analysis’ is higher and is not significantly changed, whereas that of analysis and use process, amo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functionality and ideality of Korean language has been somewhat changed. As self-monitoring has been added to textbooks since 2009 curriculum, they have reflected meta-cognition thinking process. However, self-system thought has never been found. Such a process indirectly suggests how the grammar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법 교육에서 학습 활동의 유형
3.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