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이용수 112
- 영문명
- Study for Developing Korean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Life-cycl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심혜령 조옥이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수행해야 할 역할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 어휘 및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과 여성결혼이민자 315명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의 목적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로 나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어 학습 중도 포기 원인 조사를 통해 그들이 기초생활 정착뿐 아니라 사회적 욕구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하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현황 파악과 요구를 전제로 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정착 과정에서의 생애주기가 반영된 교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ntents and topics within the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should be selected regarding the diverse roles these immigrants are to carry out and their area of activity, so that they can naturally get used to the relevant vocabulary. Also,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to help them attain multilateral images as members of the society. Thus, the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should be restructured by thoroughly grasping their needs and reality, so that it can reflect their life cycle in the settlement process. This study faces up squarely to the changes in the aspects of Korean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and puts them in the category of ‘settlement-purpose learners’. Moreover,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and their format are presented in this study.
목차
1. 여성결혼이민자 현황
2.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
3.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4. 연구 방법 및 결과
5.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