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 Study on “Three Sentence Writing”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형일 송지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163~1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쓰기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쓰기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보다 실제적이고 분명한 쓰기 지도법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쓰기가 지향해야 할 방법, 구체적으로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 교수법에 대한 논의는 그 필요성에 비해서 실제성과 구체성 부분에 있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세 문장 쓰기’라는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하나의 텍스트를 산출해 낼 때 교육적 측면에서 구안된 방식으로 학습자 스스로 세 문장을 작성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이를 기반으로 세 문단으로 확장 구성해 가는 쓰기 교수법을 제안했다. 실제 사례를 통해서 통사적, 의미적으로 고려된 세 문장 쓰기 교수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세 문장 쓰기가 어떤 원리에 의해서 설정된 것인지 간단히 논의하고 이후 그 구성 방식과 유의성을 진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쓰기 교육 방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 studies on Korean writing have pointed out the limits of writing consistently and insist that a more practical and clear writing instruction is needed.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necessity there is a lack of practicality and specificity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authentic teaching methods about how to fundamentally write instruction and how to teach in classroom lessons. In this thesis, we tried to propose a method of ‘writing three sentences’ as a way to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in actual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when a learner produces a text, the learner starts by writing three sentences in a way that is prepared from the educational aspect, and based on this, we proposes a writing method that expands to three paragraphs. Through practical examples, it was shown that ‘three sentence writing’ methods considered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can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step by step. For this, in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he three sentences were set by the principles, and then examined its composition and significance.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writing education method concrete and clearly.
목차
1. 디딤:쓰기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모색
2. 뻗음:실제 쓰기 활동 중심의 교육 방안
3. 닫음:세 문장 쓰기 교수법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