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이용수 24
- 영문명
- Intelligence Information Age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7~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제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인공 지능으로 대표되는 ‘지능 정보화 시대’로 규정하고, 지능 정보화 시대의 국어 능력 환경의 질적 변화를 진단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국어과 교육의 과제를 논의했다. 먼저 2장에서는 지능 정보화 시대의 개념을 정의했다. 지능 정보화 시대를 지식 정보화 시대와 구분하고 그 특성을 논의했다. 3장에서는 지능 정보화 시대의 국어 능력 환경의 질적 변화를, 의사소통 국면의 변화 양상, 지능의 기반이 되는 빅 데이터의 개념과 중요성, 사고력과 창의력의 질적 변화, 지식의 독점화 등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지능 정보화 시대의 국어과 교육의 과제를 탐색해 보았다. 첫째 의사소통 교육 내용의 체계화, 정교화, 위계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국어과의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 및 정교화가 필요하며, 셋째, 인공 지능 문식성 교육의 내용 탐구와 국어과 교육적 수용 방안의 모색에 대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한국적 사고 형성과 문화의 생산 수단으로서의 국어과 교육의 고유성을 확보하는 것이 지능 정보화 시대에 한국인과 인류의 공영의 길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defin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Age’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scussed th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by the times. In Chapter 2, we first defined the concep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age. In Chapter 3, we discussed the qualitative change of Korean language ability i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Age; the changing aspects of communication phase,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big data which is the basis of AI, the qualitative change of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and the monopolization of knowledge. Based on this, Chapter 4 explored th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f Intelligent Information Age.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ystematization, refinement, and hierarchization of education contents of communic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elaborate the thinking abilit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nt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Finally, it is discussed that securing the uniquen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eans of Korean thinking and culture can lead to the co-prosperity of Koreans and humans in Intelligence Information Age.
목차
1. 머리말
2. 지능 정보화 시대의 개념
3. 지능 정보화 시대의 국어 능력 환경의 질적 변화
4. 지능 정보화 시대의 국어교육의 과제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