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Emotional Experience in Education: Focusing the Emotional Experience Expressed in Baek-Seok’s Poe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송미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383~42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 읽기에서 정서 체험이란 학습 독자가 주체가 되어 시 텍스트에 형상화된 세계의 감각을 자신의 것으로 환원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정서를 경험하는 것이다. 즉 학습독자는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정서를 ‘실현’하고 그것에 ‘감응’함으로써 정서를 체험하는데 이 때 독자 내부의 정신적 사건, 정신적 상황을 구성하는 텍스트 체험 요인이 구체적인 계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풍부한 의미 생성과 다양한 정서적 반응을 경험하게 하는 텍스트 체험 요인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그것이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는 공감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체험의 속성을 유형화함으로써 독자들의 작품 감상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정서 체험의 층위를 구체화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독자의 정서 체험이 어떠한 텍스트 체험 조건에 의해 생성되고 고양되는지, 그리고 정서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공감적 기제는 무엇인지를 교육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정서 체험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위한 토대를 만드는 일이기도 하다. 먼저 교육 과정에 나타난 정서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 교육에서의 정서와 정서 체험의 의미와 성격을 고찰하고 정서 체험의 층위 그 한 가지 양상을 백석의 『사슴』 시편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영문 초록
In poetry reading, the emotional experience is to experience the emotion express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learning reader converts the sense of the world embodied to the poet text into its own sense. That is, the learning reader experiences emotions by ‘realizing’ the emotions inherent in the text and ‘reacting’ to them, at this time, the text experienc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mental events and mental situations within the reader act as specific momentum.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 in poetry education should provide readers with text experience factors which give rich meaning creation, various emotional reaction, and arrange the chance of emotion that can act meaningfully. This study is to shape the level of emotional experience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appreciation by giving shape to the attributes of experience. For this goal, first we observ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emo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emotion related discussion expressed in the educational course. Afterward, one type of emotional experience level will be reviewed through poet『Saseum』 by Baek-Seok.
목차
1. 들어가며
2. 정서 체험과 시 교육
3. 백석 시의 정서 체험과 의미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