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the 1st Comprehensive Promotion Plan for Public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최성호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4(통권 25권), 310~323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공디자인은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디자인이다. 2016년 8월부터 시행된 공공디자인법은 제5조에서진흥 종합계획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8년부터 2022년까지를 계획년도로 하는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이 수립, 운용되었고 이제 제2차 진흥 종합계획의 수립이 준비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2차 진흥 종합계획이 나아갈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1차 진흥 종합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1차 진흥종합계획의 중점전략이었던 5가지의 전략은 세부 사업으로 실행되어 왔고, 이를 분석하는 것은 유의미한 방향성을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나라장터에 공고된 사업 1,639건의 사업명과 사업내용을 키워드 카테고리로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행정기관 유형별로도 분석하여 정량적, 정성적 측면에서 그간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제1차 진흥 종합계획이 공공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정의하는데 유효하였음을 이해하였고, 안전과 편의와같은 중점 주제는 지속 연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가오는 고령화 시대와 같은 사회적 여건 변화와 지역문화의 정체성 확보 등에 대한 필요성도 분석되어 제 2차 진흥계획에 반영되어야 할 방향성으로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1st public design comprehensive promotion plan from 2018 to 2022 by the Public Design Act was established and it has been operated until now. And now 2nd comprehensive promotion plan is being prepa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the new 2nd comprehensive promotion plan,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1st comprehensive promotion plan. This study analyzed 1,639 project names and contents in the Nara Marketplace(national procurement system) and analyzed them by administrative agency type to measur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so far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rough th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1st comprehensive promotion plan was effective in defining the function and role of public design, and it was found that key topics such as safety and convenience should be continuously linked. In addition, preparing for the aging and securing local identity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in the 2nd promotion plan.
목차
1. 서론
2.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 추진내용
3. 추진전략별 성과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골판지 가구의 설계 및 전략 연구
- 내러티브를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채널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 보행장애 요소 정보수집 방법 개선을 위한 배리어프리지도 지형측정기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
- 뉴트로 패키지 요소가 소비자 비주얼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노인용 웨어러블 워치의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 인식과 사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역사문화거리에 문화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 기초 연구
-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미미크리 디자인 교육 사례 연구
- 긍정심리학 기반 학습지원대상 초등학생의 미술감상 교수․학습 방안
- 추모를 위한 데이터시각화 방안 고찰
- 캠퍼스타운 지역의 문화콘텐츠 발굴을 위한 수업 설계 연구
- ‘4세대 걸그룹의 걸 크러시 스타일’에 관한 연구
- 박물관 실감형 가상전시 공간의 주요 경험 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 창의성 발현을 위한 컴퓨팅 사고의 활용 방안 연구
- 반찬전문매장 공간표현에서의 브랜드이미지 적용 특성 연구
- 근대건축물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개발 사례 연구
- 예술가의 활동과 도시 젠트리피케이션과의 관계 고찰
- 가로등 현수기 광고디자인 유형의 시지각 요소에 대한 연구
- 디지털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 스니커즈 컬래버레이션의 시각적 패턴을 통한 의미 연구
- VR 환경 속에서 색온도 및 조도(照度)가 환경인지도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
- 한·중 공포소구 유형에 따른 담배 패키지디자인 경고이미지에 관한 연구
- 사회혁신을 촉진하는 디자인 워크숍의 도구 개발 및 활용
-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UGC) 맥락에 의한 소비자의 의사결정 경향에 관한 연구
-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를 위한 2차 병원 이비인후과 초진 진료 사전문진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믹스버스(Mixverse)경험과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현대 장신구의 3D 프린팅 기술 활용에 대한 연구
- 다도(茶道)의 활성화 방안을 고려한 티메이커 제품개발 연구
- 디자인씽킹 교과목 학습 설문의 내용타당도(CVR) 분석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중국형 인스타그램 <샤오홍슈> 사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ESG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홍보의 소비자 유형 추천과 디자인 방향성
- 고령자 중심의 직관적 인터랙티브 기반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디자인 교육인증을 위한 디자인융합 교육과정 연구
- 박물관 문화상품 디자인 특성이 관광객의 가치인식요인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용성을 고려한 휴대용 홈케어 미용기기’ 디자인 개발 연구
-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지속 가능한 패키지가 브랜드 태도, 호감도 및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