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자인 교육인증을 위한 디자인융합 교육과정 연구
이용수 87
- 영문명
- Design convergence curriculum research for design education accredit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경아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4(통권 25권), 126~13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논제는 디자인 교육인증을 위한 디자인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제어인 디자인 교육인증, 디자인융합, 핵심전공능력에 대해 알아보고 K대학의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의 디자인융합 교육과정체계도를 정의하였다. 디자인 교육은 미래의 디자이너들이 직면하게 될 사회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학제간 학습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세부전공에 기반 한 다양한 사고능력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디자인 교육인증 체계 마련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재학생 대상의 워크샵과졸업생과 산업체 관계자 대상의 집중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전공의 핵심전공능력 및 하위능력을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디자인융합 교육과정의 인증 절차를 마련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디자인융합 교육과정의 체계 마련에 따른 실증적인 교육인증 프로그램이나 평가모델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후속 연구인 디자인 전공의 취업률 재고를 위한 교육인증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보완해 발전시키도록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 design convergence curriculum for design education accreditation. The research keyword, design education accreditation, design convergence, and core competencie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 keyword, the design convergence curriculum system of K University's Communication design major was defined. Design education should provide continuous interdisciplinary learning so that future designers can flexibly adapt to the social environment they will face. To this end, workshops for current students and intensive interviews for graduates and industry officials were conducted.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could not present an empirical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or eval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design convergence curriculum system. This will be supplemented and developed through future research,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qualification program that rethinks the employment rate of design majors.
목차
1. 서론
2. 디자인 교육과 환경의 변화
3. 디자인융합 교육과정을 위한 전공능력 개발
4. 디자인 교육인증을 위한 디자인융합 교육 과정 체계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골판지 가구의 설계 및 전략 연구
- 내러티브를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채널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 보행장애 요소 정보수집 방법 개선을 위한 배리어프리지도 지형측정기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
- 뉴트로 패키지 요소가 소비자 비주얼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노인용 웨어러블 워치의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 인식과 사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역사문화거리에 문화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 기초 연구
-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미미크리 디자인 교육 사례 연구
- 긍정심리학 기반 학습지원대상 초등학생의 미술감상 교수․학습 방안
- 추모를 위한 데이터시각화 방안 고찰
- 캠퍼스타운 지역의 문화콘텐츠 발굴을 위한 수업 설계 연구
- ‘4세대 걸그룹의 걸 크러시 스타일’에 관한 연구
- 박물관 실감형 가상전시 공간의 주요 경험 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 창의성 발현을 위한 컴퓨팅 사고의 활용 방안 연구
- 반찬전문매장 공간표현에서의 브랜드이미지 적용 특성 연구
- 근대건축물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개발 사례 연구
- 예술가의 활동과 도시 젠트리피케이션과의 관계 고찰
- 가로등 현수기 광고디자인 유형의 시지각 요소에 대한 연구
- 디지털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 스니커즈 컬래버레이션의 시각적 패턴을 통한 의미 연구
- VR 환경 속에서 색온도 및 조도(照度)가 환경인지도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
- 한·중 공포소구 유형에 따른 담배 패키지디자인 경고이미지에 관한 연구
- 사회혁신을 촉진하는 디자인 워크숍의 도구 개발 및 활용
-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UGC) 맥락에 의한 소비자의 의사결정 경향에 관한 연구
-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를 위한 2차 병원 이비인후과 초진 진료 사전문진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믹스버스(Mixverse)경험과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현대 장신구의 3D 프린팅 기술 활용에 대한 연구
- 다도(茶道)의 활성화 방안을 고려한 티메이커 제품개발 연구
- 디자인씽킹 교과목 학습 설문의 내용타당도(CVR) 분석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중국형 인스타그램 <샤오홍슈> 사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ESG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홍보의 소비자 유형 추천과 디자인 방향성
- 고령자 중심의 직관적 인터랙티브 기반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디자인 교육인증을 위한 디자인융합 교육과정 연구
- 박물관 문화상품 디자인 특성이 관광객의 가치인식요인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용성을 고려한 휴대용 홈케어 미용기기’ 디자인 개발 연구
-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지속 가능한 패키지가 브랜드 태도, 호감도 및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