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이용수 450
- 영문명
- A Study on School-level Career Guidan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박수련 김종훈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183~2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5년에 전면 시행될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안착되고 그 본연의 취지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한 교육 활동 설계 및 진로⋅진학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 활동운영 및 진로⋅진학 지도 발전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10명의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단위학교 수준에서 이루어지는진로⋅진학 지도의 현황, 쟁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탐색 교육, 진학 지도, 과목 선택 지도의 특징과 의미를드러내었다. 또한, 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평가제도와 학점제 간의 괴리, 전통적인 학급 개념의 변화에 따른 문제, 변화하는 진학 지도에 적합한 교사 전문성 문제등을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이 연구는 2025학년도부터 모든 고등학교에 전면 적용될 예정인 고교학점제의 시행을 앞두고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be fully implemented in 2025,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national curriculum reflecting students’ career paths and aptitudes and to shift to future-oriented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ways to explore school-based career guidan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overcom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career guidance through interviews with 10 hig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guidance for higher education, and supports for subject selec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s problematize the gap between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credit system, changes in traditional concept of ‘classroom’, and teacher professionalism suitable for changing academic guidance. This study proposes the further tasks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ill be applied to all high schools in 2025.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의 현황과 쟁점
Ⅴ. 결론: 학점제 구현을 위한 진로⋅진학지도의 개선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