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A Study on Peace Education in Colombia for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After Civil War: Exploring the Implications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오기성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7~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콜롬비아에서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평화교육의 근본적 원인인 내전은오랜 기간 지속되었고 그 뿌리가 깊다. 콜롬비아 분쟁에서 FARC와 ELN은 2016년평화협정이 체결되기 전까지 50년 넘게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정부군과 내전을 벌여왔다. 그러나 길고 복잡한 평화 과정을 거쳐 쿠바 하바나에서 4년 간의 회담의 산물인2016년 산토스 콜롬비아 정부와 FARC의 평화협정이 이루어졌다. 이 협정은 공식적으로 무력 충돌의 종식을 알렸다. 아울러 협정 이후 산토스 정부는 평화협정의 실천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을 통해 사회 통합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렇듯 내전을 극복하고 평화를 구축하고 있는 콜롬비아의 사례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50여 년간의 내전을치룬 콜롬비아 사회가 평화⋅화해⋅치유를 위해 어떠한 평화교육적 노력을 기울여왔는지 그리고 그러한 노력이 우리의 평화․통일교육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콜롬비아에서 평화⋅화해⋅치유 추진의 배경이 되는 라 비올렌시아(La Violencia)를 포함한 내전의 과정과 특징, 그리고그것의 폐해를 분석하였다. 둘째, 분쟁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평화프로세스로서 2016년 평화협정의 내용과 특징, 그리고 이후 평화구축 과정을 고찰하였다. 셋째,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교육적 노력을 공교육과 시민사회단체의 교육적 노력을통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평화교육이 한국의 평화와평화⋅통일교육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Civil war, which is the root cause of the promotion of peace education for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in Colombia, has lasted for a long time and has deep roots. In Colombia's disputes, FARC and ELN had fought civil wars with government forces in most parts of the country for more than 50 years before the peace agreement was signed in 2016. But, after a long and complex peace process, the 2016 peace agreement with the Santos Colombian government and the FARC, the product of four years of talks in Havana, Cuba, officially marked the end of the armed conflict. In addition, after the agreement, the Santos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s to integrate society through various measures in terms of implementing the peace agreement. With regard to Colombia's case of overcoming civil war and building pea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peace and education efforts Colombian society has made for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over the past 50 years, and what those efforts mean for our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d harms of civil war, including La Violencia, which is the background for the promotion of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in Colombia.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16 peace agreement as a peace process for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after conflict, and the subsequent peace-building process. Third, this paper examined educational efforts for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through public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efforts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peace education for peace, reconciliation, and healing on peac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평화⋅화해⋅치유 추진의 배경
Ⅲ.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평화교육의 토대
Ⅳ.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평화교육의 추진
Ⅴ. 한국 평화⋅통일 교육에의 함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