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3
- 영문명
- Nature of Science, Pre-service Science Teacher, Board Games, Empirical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Tentativenes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경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87~1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카드게임, 빙고게임 등을 활용한 보드게임을 구성해 12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또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식 조사는 VNOS-C를 활용하였다. NOS 학습 활동은 과학의 정의, 전통적 과학철학과 현대적과학철학, 과학 지식의 구성 요소, 과학의 과정과 방법, 과학자와 과학 관련 태도, STS와 과학적 소양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전검사에서 대부분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잠정성과 과학자들의 창의성과 상상력 활용에 대해서 전문가적관점을 나타냈다. 반면에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과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과학적모델 등의 영역에서는 초보자적 관점을 나타내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사후검사에서 다수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을 제외한 모든영역에서 전문가적 관점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특히 과학 지식의 잠정성, 과학의사회문화적 내재성, 과학자의 창의성과 상상력 활용에 대해서는 모든 응답자들이 전문가적 관점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 학습 활동이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OS learn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to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the nature of science. To this end, board games using one-card games and bingo games were organized and conducted for 12 hours. In addition, a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VNOS-C was used for the questionnaire. NOS learning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science, the traditional and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knowledge, the process and methods of science, attitudes related to scientists and science, and STS and scientific literacy. In the pre-test, most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more informed view of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use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scientists. On the other hand, in areas such as the empirical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the diversity of scientific methods, and scientific models, there were relatively many pre-service teachers who showed inexperienced viewpoints. In the post-test, a number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a change to more informed views in all areas except for the empirical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In particular, all respondents expressed more informed views on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social and cultural embeddedness of science, and the use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scienti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S learning activities using board games are effective in rais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