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eacher motiv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sense of cal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나영 박형신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165~1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전공만족도를매개로 그들의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도 소재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의 예비유아교사 361명을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2019)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4.2를 활용하여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그들의 소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결과를토대로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사직에 대한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진로와 직업을안정적으로 선택하고 적응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주변인들로부터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받으며 능동적인 교사동기를 발현하여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motivation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sense of calling through major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6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three-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G 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Hayes’ (2019)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4.2. I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motivation had an effect on their sense of calling through the medium of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was that it is necessar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by receiving positive social support from those around them and expressing active teacher motivation in order to help them to choose and adapt to their careers and jobs with a clear sense of purpose for the profess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