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이용수 107
- 영문명
- Students’ Difficulties during Covid-19 Pandemic: Focused on Learning Clinic Center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황매향 이정인 김영빈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249~2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상담자들의 비대면 학습상담 경험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비대면 수업 및 학습상담의 향후 방향과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상담적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상담사 및 학습부진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수거된 74부의 자료를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상담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감염병사태에서의 학생들의 어려움은 총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학업성취가 저하됨’이전체 반응의 36.2%로 가장 많았으며, ‘비대면 수업에서의 어려움’(24.7%), ‘생활관리와학습관리의 어려움’(21.8%), ‘관계 및 가족문제’(9.2%), ‘정서문제’(8.1%)의 순이었다. 다음으로 학습상담자들의 비대면 학습상담에 대한 경험은 ‘상담 운영에서의 어려움’(35.5%), ‘탐색에서의 어려움’(18.7%), ‘학생들의 긍정적 태도’(12.1%), ‘상담과정에서의 효과’(12.1%), ‘학생들의 참여 태도가 좋지 못함’(11.2%), ‘상담진행의 효율성’(10.4%) 순으로 총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비대면 학습상담의 극복방안 및 대안으로는 ‘다양한 기법의 활용’(35.0%), ‘유관기관 및 관련자와의 연계’(26.8%), ‘내담자(학생) 중심의 운영’(24.4%), ‘상담자의 준비도 향상’(13.8%) 등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통해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력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흥미를 높이기 위해 학습종합클리닉센터 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적절한 지원 체제를 마련할 필요가있으며, 비대면 학습상담 관련 전문가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explores the non-faceto- face learning counseling experiences of learning comprehensive clinic counselor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not only for the future direc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counseling situation, but for the counseling supports for students who lack basic learning. 7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ata for learning counselors at learning clinic center and instructors for underachievers at school were analyzed using CQR-M. As a result, five categories of students' difficulties under COVID-19 pandemic situation recognized by learning counselors were derived. Among the derived categories, ‘deterior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most common with 36.2% of the total response, followed by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classes’ with 24.7%, ‘difficulties in management’ with 21.8%, ‘relationship and family problem’ with 9.2%, and ‘emotional problem’ with 8.1%. Next, six categories of learning counselors' experiences in non-face-to-face learning counseling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difficulties in counseling process’(35.5%), ‘difficulties in exploration’(18.7%), ‘positive attitudes of students’ (12.1%), ‘the effect of counseling process’(12.1%), ‘students negative participating attitudes’(11.2%),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10.4%).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to solve the problem of non-face-to-face learning counseling: ‘application of various technic/strategies’(35.0%), ‘linkage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persons’(26.8%), ‘students centered counseling’(24.4%), and ‘Improving the preparedness of counselors’(13.8%). As a resul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narrow the educational gap between underachieving students and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academic activities, but also to establish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at home, school, and community. Also,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education and supervision for online learning counsel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