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65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Program Focused on Safety Topic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은주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109~1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전교육은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교과에 걸친 다양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교육을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한 STEAM 교육에 접목하여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물놀이 안전, 화재 안전, 교통 안전, 지진 안전, 구조 요청의 5가지 주제를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주제는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수학, 미술, 체육 교과가 연계되어 있으며,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5종의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을 각각 적용한 결과, STEAM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서 평균 4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및 교사들의면담에서도 안전 지식, 안전 의식, 안전 문제 해결 실천 측면에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Safety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requires a variety of knowledge across various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safety topic-centered STEAM program by combining safety education with STEAM education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real life. The program includes five themes: water safety, fire safety, traffic safety, earthquake safety, and rescue calls. Each topic was designed to include content on situational present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with mathematics, art, and physical education being linked with the science subject as the center. As a result of applying each of the five safety-themed STEAM programs to 4th-6th grade students,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with the STEAM class was 4 or higher. In addition, in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class to which this program was applied in terms of safety knowledg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oblem solving practic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