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이용수 398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primary & secondary school teachers’ trust on AI-based educational technology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방담이 윤회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5집, 227~2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및 신뢰를 탐색함으로써 기술의 도입과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초⋅중등학교 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은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관련 연상 단어를 묻는 문항과 ‘교육현장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장점’, ‘인공지능 진단을 신뢰할 수 없는 이유’, ‘교수법 개선을위한 인공지능과의 협력’의 세 범주로 구성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와 관련하여 개별 맞춤형 교육을 가장많이 연상하였으며, ‘교육현장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장점’ 범주에서도 개별맞춤형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두 번째 범주인 ‘인공지능 진단을신뢰할 수 없는 이유’로 인공지능이 학생의 전체적인 이력을 조망하지 못한다는 점에동의하는 한편,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도 교사 고유의 역할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드러냈다. 교사들은 ‘교수법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과의 협력’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학교급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고등학교교사에 비해 ‘인공지능 진단을 신뢰할 수 없는 이유’ 범주에서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연수경험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수법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과의 협력’ 범주에서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연구의결과로부터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활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trust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AI-based educational technology were explore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and efficient use of technolog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11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one item asking about reminding words related to AI-based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ree-category items : ‘perceived benefits of AI in an educational settings’, ‘reasons for not trusting AI diagnosis’ and ‘working alongside AI to improve pedag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dividualized education was most frequently suggested as reminding the words related to AI-based educational technology, and teachers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in the category of 'perceived benefits of AI under educational settings'. In the second category, ‘reasons for not trusting AI diagnosis’, teachers believed that AI could not see the entire history of students, while also expressed the expectation that they would have a unique role in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ers generally expressed positive perceptions about ‘working alongside AI to improve pedago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y school level, prim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perceptions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d in the category of ‘reasons for not trusting AI diagno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the training experience, teachers with an experience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than teachers without an experience in the category of ‘working alongside AI to improve pedag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use of AI-based educational technolog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과 학교적응 및 영향 변인
-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
-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은유 유형과 인공지능 태도와의 관련성 분석
-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본 K-MOOC의 교수설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속 학습자들의 어려움
- 안전 주제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랙티브 전시 방법 차원에 의한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소재 전시물 분석
-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 맹자 일본(一本)사상에 기반한 도덕 심리학과 교육 전략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동기가 소명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제85집 목차
- 내전 이후 평화⋅화해⋅치유를 위한 콜롬비아의 평화교육 연구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수준의 고등학교 진로⋅진학 지도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