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이용수 67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kinds of subjectiv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ourism for good teaching: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차석빈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239~2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 대학들은 학령인구의 감소 등 어려워진 경영환경으로 생존 경쟁을 위해 학생들에게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관광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좋은 교수법의 속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인식 유형을 조사하였다. 27개 Q 진술문과 30명의 대학생 P-표본을 선정하여 Q-분류를 수행하였다. Q 요인분석결과, 교수 열정 및 학생 배려 중시형(유형 I), 지적 욕구 충족 중시형(유형 II), 취업 관련 실용성 중시형(유형 III)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교수 열정 및 학생 배려 중시형인 유형 I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교수의 수업에 대한 열정 및 철저한 수업 준비와 학생들의 입장과 수준을 고려하는 수업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 욕구 충족 중시형인 유형 II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수업과 많이 배웠다는 느낌이 드는 수업을 중시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취업 관련 실용성 중시형인 유형 III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취업 및 실생활과 연계된 실용적인 수업 내용과 최신 수업자료로 지속적인 강의 업그레이드가 있는 수업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형 간 차이 분석에서는 유형별 진술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유형별 수업에 필요한 세부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교수들이 수업설계 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Korean universitie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for students in order to compete for survival in a difficult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a decreasing school-age popul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that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have regarding the attributes of good teaching by using Q-methodology. Twenty-seven Q-statements were generated, and 30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P-sample to conduct Q-classification. The Q-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types of perceptions: the professor’s passion & consideration of students (type I), intellectual fulfillment (type II), and employment-related content (type III). The university students correspond to the types I perceived the professor’s passion for teaching and thorough preparation for classes and considering the students’ point of view as important. The students corresponding to type II had the characteristic of consideri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feeling of learning a lot as important. The students corresponding to type III perceived practical content related to employment and continuous lecture upgrades with the latest class materials as important.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atements by type. Based on the results, the detailed implications necessary for each type of clas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used as useful implications by professors to improve the design of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