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11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cabin crew job insecurity as a result of COVID-19: The perspective of domestic low-cost carriers (LCC) cabin crew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혜정 강현수 정철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177~1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라는 불가항력적인 충격은 국내외 항공산업에 큰 충격과 일자리 손실을 가져왔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항공 및 관련 산업에서 약 2.500만 명의 일자리를 상실을 예측할 정도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충격이 국내 LCC 항공승무원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라는 연구질문을 통해 그들의 직무불안 경험을 이해하고 관련 직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그들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심리학적 의미를 분석하여 인간행위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당혹감 등 부정적 감정에 노출되었으며 휴직 장기화에 따라 경제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감정에서 벗어나려는 생존의 욕구는 운동, 등산, 요리 등의 취미활동을 하며 여가의 편익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으며 자기성찰과 스트레스 완화, 조직에 대한 긍정적 감정, 정부지원의 고마움에 일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20∼30대를 대상으로 한정함으로써 세대별, 생애주기별 지향점을 깊이 있게 고찰하는 계기를 마련한 점에 의의가 있다.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정책이 직무불안정성에 직면한 관광 종사자가 직무 복귀의 용이성, 자기성찰과 교육의 기회를 통한 직무 전환기회 제공, 고용유지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COVID-19 shock brought a great shock to the domestic and foreign aviation industries and job losses.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predicts the loss of about 25 million jobs in aviation and related industr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understood their job insecurity experienc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related occupations through research questions about the unprecedented impact of COVID-19 on domestic LCC flight attendants.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meanings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to grasp the essential meaning of human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negative emotions such as embarrassment, and were suffering from economic pressure due to prolonged leave of absence. The desire to survive these emotion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benefits of leisure by doing hobbies such as exercise, hiking, and cooking, and contributed to self-reflection, stress relief, positive feelings for the organization, and gratitude for government support. These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eply examine the orientation points by generation and life cycle by limiting them to those in their 20s and 30s in Korea.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that the government's employment maintenance support polic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ease of returning to work, providing job transition opportunities through self-reflec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maintaining employ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