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reconceptualization of travel careers: Application of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황영주 이훈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127~1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행경력(travel career)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하위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여행경력 개념이 관광학 분야에 제시된 이후, 여행경력이 유발하는 여행자의 동기 변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하지만 여행경력의 효과와 영향은 연구마다 일치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며, 관련 개념이 아직 체계적이고 타당한 이론적 체계를 갖추지 못하였음을 확인하였다(고동우, 2019). 구체적인 선행연구의 한계는 1) 여행경력 개념의 비일관성 2) 하위요인에 대한 논의 부족 3) 여행경력을 ‘행동’, ‘정서’ 만으로 측정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여행경력의 개념과 하위요인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이 연구는 여가학 분야의 전문화(specialization)이론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recreation specialization)를 적용하여, 여행경력의 통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여가활동의 참여수준을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관광학 분야에서도 경력의 개념과 가치를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이다(Pearce & Lee, 2005).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여행경력에 대한 일관적 개념과 하위요인이 부재한 가운데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고찰하고, 타당성 검토를 거쳐 여행경력을 재개념화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이론을 적용하여 행동, 인지, 정서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여행경력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다. 특히 인지적 차원은 여행경력 관련 연구에서 논의가 매우 미흡했던 부분으로 여행경력 개념의 이론적 체계를 확장하는데 기여한 연구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Since Pearce (1988) first suggested the concept of travel career in the tourism field, var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ainly focused on travel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induced by different travel careers. However, the effect and influence of travel careers varied across studies, indicating that the concept has yet to achieve a systematic and valid theory structure (Ko, 2018). More specifically, the limits of previous research are: 1) inconsistency of travel career 2) There is no discussion of subelements. 3) evaluating a travel career solely on the basis of “behavior” and “aff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raw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of a travel career and expand the discussion on subelements. In the field of leisure scienc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s explained by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ory. Previous research has found that travel experience encompasses a variety of leisur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hat theoretical structure on leisure phenomena provides a significant lead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experience (Ko, 2017). On the basis of such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pplies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ory to the conceptualization of travel career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hile the concept of travel career lacked consistency and subelements, it considered problems drawn from prior studies and developed a systematically complemented measurement tool. Also, with the application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ory, a travel career was constructed with multiple dimensions, including subelements of behavior, cognition, and affect. In particular, the cognitive dimension was scarcely discussed in prior research and it made a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travel career concept.
목차
Ⅰ. 서론
Ⅱ. 여행경력 개념
Ⅲ. 여행경력 재개념화의 이론적 토대
Ⅳ. 연구절차
Ⅴ. 여행경력 재개념화
Ⅵ.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