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이용수 20
- 영문명
- Development of quality measurement scales for home sharing lodging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전병길 허서영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11~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관광숙박업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한 공유숙박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째, 측정척도 개발을 위한 1단계로 한국관광 품질인증제에서 활용하고 있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현장평가지표를 예비문항 총집의 준거로 활용하고, 서비스품질 연구 및 공유숙박업을 포함한 숙박 서비스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공유숙박 품질 측정 1차 예비문항 총집을 구성하였다. 둘째, 공유숙박업 품질 측정척도 개발의 내용 타당성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숙박 예약 플랫폼에서 나타난 이용고객 리뷰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서 2차 예비문항 총합을 구성하였다. 셋째, 전문가그룹을 구성하여 문항 총합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고 문항을 정제하였으며, 총 28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문항 총집을 확보하였다. 넷째, 28개의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193개의 유효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수집된 유효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예비 측정 도구의 정제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품질, 결과품질, 상호작용품질 등 세 개의 차원으로 구성된 총 20문항의 공유숙박업 품질 예비 척도를 확보하였다. 다섯째, 각 차원 내 항목 간의 내적 일관성과 요인 간의 독립성을 확인하는 확인적요인 분석 과정을 통해서 측정척도에 대한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 단계로 개발된 척도가 준거 변수인 공유숙박업소 이용자의 숙박 서비스 만족을 설명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척도가 갖는 예측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총 20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공유숙박업 품질 측정척도를 제안하였으며, 이 척도는 공유숙박업에 대한 후속연구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관광산업 활용 측면에서 국내 공유숙박업 전반에 대한 품질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velop scale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home-sharing lodging. Also,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rocedure of developing measurement scales. First, “Guest house for foreigners” appraisal items for Korea Tourism Quality Accreditation were used as the basis of the preliminary measurement scales. Second, basic articles in the field of service marketing, especially service quality theory, were reviewed. Authors have tried to apply lodging service quality research and home-sharing lodging literature to this work. Third, the authors hav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customer reviews on the online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in order to develop a customer-oriented evaluation tool. Fourth, five steps of empirical efforts (item evaluation by discriminant group,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to ensur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scales. As a result, scale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home sharing lodging, consisting of 20 items (3 dimensions: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outcome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have been developed. These scales are distinguished from former lodging service quality scales in that process and outcome quality have been equally balanc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Ⅲ. 논의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