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1
- 영문명
- Effect of perceived hotel augmented reality art tour characteristics on customers’ theatrical experience and engagement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지연 정남호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55~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호텔산업은 이전과는 다른 마케팅 방향을 추구하며, 차별되는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비대면 서비스와 언택트 마케팅이 고객에게 전염병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호텔기업 측면에서는 인건비를 절감시키는 만큼 매우 효과적인 방안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는 고객 인게이지먼트 상승을 이끌어내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효과적이고 안정적 활용을 제시한다. AR을 기반으로 감상활동을 수행하는 뉴미디어 아트의 하나로 AR 아트투어가 호텔에 적용되었을 때, AR의 특성(생생함, 상호 작용성)이 공연경험 만족도(지각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정서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공연경험 만족도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호텔 투숙경험이 있는 내국인 200명으로 하였다. AMOS 6.0을 이용한 2nd order 분석 결과, 공연경험 만족도가 네 가지 영역에 가지는 유의미한 경로계수를 발견하였다. 또한 SPSS 분석으로 AR특성이 공연경험의 각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공연경험 만족도는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기업이 추구하는 지속적인 상호작용 서비스와 체험 마케팅의 일환으로 AR을 고려하고 확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실무적 방안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hotel industry provides a different marketing direction and services compared to before COVID 19. As kiosks, pre-reservations, self-service or AI robot room services become more common, the use of diversified high-technology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and continuous use of AR (augmented reality) that leads to increased customer engagement. Starting with an empirical review of revitalizing the domestic art experience and developing facil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value of Art Hotel. A total of 200 Korean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hotels,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Using AMOS, the resul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nd order's theatrical experience with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in four areas (perceptual area, cognitive area, communication area, and emotional area). In addition, by using SPSS, it was found that vividness and inter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heatrical experience, and the theatrical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engage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vividness and interaction of AR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atrical experience in a way that improved customer engagement levels and had a proportional correla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hotels need to be able to us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as part of their ongoing services and as a tool for experiential market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