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이용수 45
- 영문명
- The attributes of virtual reality(VR) experiences and spatial cognition among tourists: Focusing on a behavioral geographic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지상훈 황혜진 황철수 구철모 이은지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153~1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과 같은 몰입형 기술은 여행 전, 중, 후 단계에서 관광욕구의 자극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관광산업에서의 몰입형 기술에 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마케팅 도구가 아닌 하나의 경험재로써의 가치를 확인하고, 행태지리학적 관점에서 관광자의 가상공간 및 관광목적지 내에서의 공간인지와 행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K캠퍼스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지를 VR 자극물로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관광자의 인식과 행동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어, 질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VR 체험 이후(t1)와 관광목적지 방문 이후(t2)의 두 시점에 걸쳐, 심층인터뷰와 인지지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 인터뷰 연구 결과, VR 경험 속성은 “각성(긍정적/부정적), 몰입의 경험, 감각적 경험, 공간적 현존감” 으로 범주화되었다. 먼저, 참여자는 가상공간상에서 긍정적인 각성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각성을 느끼고, 감정 상태의 전이가 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상공간에서 참여자는 시간에 대한 인지를 못 하는 몰입을 경험하였으며, 실제 물리적 공간처럼 가상 공간을 표현하였다. 또한, 감각 왜곡(e.g. 환청)을 경험하며, 가상 공간에서의 활동을 “실제 ... 인 것처럼”으로 표현하였다. 관광목적지 방문 이후, 참여자들은 가상공간에서의 이동이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침으로 진술하였는데, 참여자들의 행동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상현실에 관한 연구는 주로 관광자의 인식을 측정하는 양적 접근을 취하는 데 반해, 이 연구는 참여자의 심리적 상태와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개발자 및 관광마케터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mmersive technologies such as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not only stimulate travelers' needs before, during, and after a trip but also provide new experiences. As the COVID-19 outbreak continues and non-face-to-face activities are preferred, the tourism industry considers immersive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tool to fulfill a traveler’s needs when travel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virtual reality as a means to experience traveling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tourists in virtual spaces and at tourist destinations from a behavioral geographic perspective. To do so, this research selected K Campus, locat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as the research destination and established virtual reality content for the experiment.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from interviews and mental maps to better understand tourist perceptions and behavior.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mental maps is collected at two different periods: after the VR experience (t1) and after visiting the destination (t2).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categorized the VR experience as (1) arousal, (2) immersive experience, (3) sensory experience, and (4) spatial presence. Furthermore, after visiting the destination, participants stated that movement in the virtual space influenced their actual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an in-depth approach to investigate participants' psychological states and percep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