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이용수 4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companies’ shared values and their employees’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attitude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제우 이상훈 고동완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4호, 199~2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Morgan and Hunt(1994)가 주장한 몰입-신뢰 이론의 핵심인 KMV model을 토대로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 태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고, KMV model에서 다루지 못했던 경로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여행업 종사자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구성개념 간 관계는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검증했고, 신뢰와 관계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4)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공유가치창출은 신뢰와 관계몰입, 성과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신뢰는 관계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신뢰와 관계몰입은 성과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관계몰입은 공유가치창출과 성과태도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Morgan and Hunt(1994)의 KMV model에 기반해서 공유가치창출과 성과태도 간 관계를 추가 설정하여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공유가치창출과 성과태도 간 관계에서 신뢰와 관계몰입의 매개변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기존 KMV model에서 확인되지 못했던 한계를 보완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ng shared value,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attitude of tourism companies based on the KMV model.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35 tourism employees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s. A process macro(4)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creating shar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formance attitude. And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ship commitment.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formance attitude. Lastly,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ng shared value and performance attitud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academic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d creating shared value as claimed by the KMV model of Morgan and Hunt (1994). Second, this study filled in some of the gaps that the existing KMV model didn't cov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기업의 공유가치창출과 종사원의 신뢰, 관계몰입 및 성과태도의 관계
- 좋은 수업에 대한 관광전공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 [편집인의 글] 호텔․외식경영분과 특집호를 발간하며
- 공유숙박 품질 측정 척도의 개발
-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호텔 증강현실 아트투어 특성이 고객의 공연경험 및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The managerial behavior of restaurant operators in a time of crisis
- 관광지에서의 지역주민 현장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이해
- 여행경력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 관광자의 가상현실 경험과 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승무원의 직무불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동·식물 수어가 농인의 생태관광 해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