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sis of Accessibility of Individual Tourists to Destin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Public Transit Network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정헌 정연동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2호, 209~2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별관광객들의 관광활동에 있어 제약하는 요인들 중의 하나인 대중교통에 대한 연구로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관광지와 관광지를 운행하는 버스노선의 전체 연결망에 대한 중심성 값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관광객들의 이동여건을 파악하고 버스노선 연결망을 시각화하여 관광지 간의 이동에 있어서 취약한 구간을 찾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안내』에 수록된 관광지를 경유하는 버스노선을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Ucinet을 이용하여 중심성을 분석하였고 NetDrew를 이용하여 버스노선에 대한 연결망을 시각화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별관광객의 이동여건에 관련된 관광교통 체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방법론으로서 사회 연결망 분석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버스노선 분석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버스노선의 연결망을 시각화하는 것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통시설에서 직접 방문할 수 있는 관광지가 한정되어 관광활동에 제약됨을 확인하였다. 교통과 관련된 연구는 시ㆍ공간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특성만 고려하여 이에 따른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는 시ㆍ공간적 특성을 함께 고려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public transit, which is one of the constraint factors for tourism activities.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 of bus routes near Ulsan destinations were examined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o confirm the mobility environment of tourists. The network of bus routes was visualized to identify weaknesses involving tourism destinations by using the bus routes listed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Bus Route Guide.” Centrality was analyzed using UCINET and the bus networks using Netdre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is useful as a methodology for research on tourism transit systems related to the mobile environment of individual tourist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visualization of the bus network is useful for bus route analysis and improveme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ccessible destinations using bus routes is limited, so tourism activities are also limited. Traffic-related research should jointly consider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However, this study considered only spatial characteristics, so further research should also consider temporal characteristic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예약부서 고객의 불평행동 분석
-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 호텔 로열티 프로그램이 인지적, 감성적,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 다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