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이용수 82
- 영문명
- Pilgrimage Motivations through Constructivism Grounded Theory: Focused on Christian Pilgrimage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양림 김영미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2호, 157~18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성지순례여행의 동기를 이해하고자 구성주의적 근거이론방법론에 의거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이론적 표본 추출을 통해 최근 3년 이내에 이스라엘 성지순례를 다녀온 3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성지순례여행의 동기는 사회적 탐구, 종교 체험, 믿음체험을 위해 성지순례여행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탐구’의 동기로 일상탈출, 교육, 신기성, 사회관계 촉진을 위해, ‘종교 체험’을 위한 동기로 성스러운 분위기 경험, 다른 문화 경험, 영적 위안 추구 및 탐색을 위해, ‘믿음 체험’을 위한 동기로 하나님과 가까워지기 위함, 일생의 성취감 목적, 영성 체험을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학 연구의 새로운 연구 주제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아직까지 이론적 관심과 연구가 축적되지 않은 연구 주제에 접근함으로써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발견하고, 이는 초보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관광학의 이론개발에 공헌 뿐 아니라 관광학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광학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주제에 대한 접근과 종교관광을 관광학 분야의 연구에 도입할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향후 종교 관광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hristian pilgrimage experiences by addressing the question of what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pilgrimage motivations are.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Christian pilgrimage experience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of Charmaz (2006) was conducted. A total of 32 people who had made a pilgrimage to Israel in the preceding three yea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While research on pilgrimages has tended to emphasize religious persp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bridging the sacred to the secular, which can be considered to be a new aspect of pilgrimage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existing stud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예약부서 고객의 불평행동 분석
-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 호텔 로열티 프로그램이 인지적, 감성적,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 다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