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Gentrification Process of Living Space by Tourism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상훈 강상훈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2호, 85~1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광에 의해서 생활공간이 관광지로 변형되어가는 과정 그리고 지역주민이 그 변화과정에 대해 가졌던 태도를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심층 면접을 적용해서 조사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생활 공간인 감천문화마을은 관광에 의해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젠트리피케이션 진행 과정은 크게 지방자치단체와 마을 협의회의 관광지화 찬성 단계, 지역주민 간의 관계변화 단계, 지역주민 이전 강요와 지역주민과 외부자원의 압박 단계,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한 마을 공동화의 4 단계로 구분되었다. 또한 지역주민이 살고 있는 생활공간이 관광지로 변화된 이후에 발생하고 있는 관광의 부정적 영향에 관해서도 알아봤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결과물로서 제시했던 비자발적 외부이주현상과 더불어 ‘자발적’ 외부이주 현상과 비자발적 ‘내부’ 이주현상이 관광지화된 생활공간에서는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기존 젠트리피케이션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를 했고, 실무적 시사점을 결론에서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living space to tourism space and local residents' attitudes toward the transformation process by applying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indings show that gentrification has hastened the transformation of living space to tourism space. More specifically, four steps were identified: 1) approvement for being a tourism space by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council; 2)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among community residents; 3) transfer of community residents' living space by demand; and 4) community decline as a result of gentrifica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mandatory transfer by gentrification, this study found that both voluntary transfer to other communities and mandatory transfer within local residents' communities have been happening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advance the current knowledge of gentrification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예약부서 고객의 불평행동 분석
-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 호텔 로열티 프로그램이 인지적, 감성적,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 다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