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Effect of Motivation in Rural Tourism Education on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Participants’ Engagement in Tourism and Gender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양영순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2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촌관광사업의 기획과 운영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농촌관광교육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 사업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 참여자의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그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관광업 종사 여부와 성별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6년 10월 28일부터 12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18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관광교육의 참여 동기는 ‘인적 네트워크’, ‘내재적 즐거움’, 그리고 ‘사회적 효용’으로 구성되며, 행동 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동기의 3가지 요인 중에는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배우고 교류하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얻고자 하는 인적 네트워크 요인이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관광업 종사 여부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육 참여자가 관광업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적 네트워크가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반면에, 관광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학습 자체에 대한 즐거움이나 만족을 추구하는 내재적 즐거움이 가장 큰 동기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호의적인 행도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참여 동기와 관련된 교육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고, 교육 이후에도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포럼이나 학습 조직의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참여자의 관광업 종사 여부나 성별과 같은 변인을 활용하여 교육 과정을 세분화하고, 교육 내용을 포함한 운영 방식의 차별화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rural tourism education on behavioral intention, as well as participants’ engagement in tourism and gender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For this, 183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rural tourism education and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education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personal network, intrinsic satisfaction, and social utility, all of which positively influenced behavioral intention. Personal network most strongly affected behavioral intention, followed by intrinsic satisfaction and social utility. The results show that both participants’ engagement in tourism and gende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t implies that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participation motives fo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nduce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in rural tourism education. Also needed are special programs or schemes to boost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o build network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설계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예약부서 고객의 불평행동 분석
-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 호텔 로열티 프로그램이 인지적, 감성적,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 다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