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이용수 19
-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the Benefits of Camping Experience Using Outdoor Recreation Resource Management Tools: Focused on BBM(Benefit Based Management) and ROS(Recreation Opportunity Spectrum)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현정 김진동 김남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2호, 187~2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캠핑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캠핑장 시설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자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인 편익중심관리(BBM)와 레크리에이션 기회분포(ROS)에 초점을 맞추어 캠핑경험의 편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ROS 상 도시 유형으로 분류되는 한탄강 캠핑장과 자연지역 유형으로 분류되는 계방산 캠핑장의 캠핑후기가 게시되어 있는 블로그 122개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법을 통해 구체적인 편익 속성과 환경 속성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ROS상 서로 다른 유형에 속하는 두 곳 즉, 도시 유형과 자연지역 유형의 캠핑장 별로 방문한 캠핑객이 가장 많이 얻는 편익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캠핑장 환경 별로 제공하는 편익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편익이라고 할지라도 상이한 ROS 유형에 따라 편익이 발생하는 구체적인 환경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영하는 캠핑장의 ROS 유형에 적합한 핵심 편익을 중점적으로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제공하고 싶은 목표편익이 있다고 할지라도 ROS 유형에 따라 다른 환경을 조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향후 캠핑장 등급제도 마련 시 각 캠핑장의 ROS 유형에 따라 등급기준을 달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Domestic camping has been growing in popularity. This study analyzed the benefits of camping, focusing on BBM & ROS, which are outdoor recreation resource management tools to measure growth in camping faciliti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ccordingly, 122 blogs posting camping reviews of two camping sites (Hantan River and Mt. Gaebang), which by ROS are classified as urban type and natural area type, respectively, were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 attributes and environment attribute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different benefits offered by each type of camping environment. Furthermore, for similar benefits there were specific environmental differences according to ROS type. The results suggest that camping site operators should focus on core benefits and create different environments by ROS type. In addition to this, it is suggested that grading criteria be done differently by ROS type in the development of a camping-site grading system.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예약부서 고객의 불평행동 분석
-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 호텔 로열티 프로그램이 인지적, 감성적,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 다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