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이용수 7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xperience Impact of Royal Culture Festival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경여 이훈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2호, 103~11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거에 문화재와 문화유산관광지는 보존의 차원에서 주로 정적인 관광장소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활용정책을 펼치고 있어 여러 문화유산 관광지에서 체험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목적은 문화유산축제인 궁중문화축전의 두 가지 체험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축제체험속성을 검증하고 체험속성과 만족 및 재방문 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2017년 제3회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 중 체험 성격이 강한 ‘수라간 시식공감’과 ‘1750시간여행 그날’ 두 가지 프로그램 참가자 277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 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성, 일탈성, 대동성, 신성성, 장소성 5가지 축제체험속성요인들이 추출되었고 모두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장소성이 가장 강한 축제체험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일탈성, 교육성, 신성성, 대동성의 순서였다. 참가자를 대상으로 축제체험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이 무엇인지 묻는 선택형 질문에는 장소성, 교육성, 일탈성, 신성성, 대동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체험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체험속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해본 결과 ‘수라간 시식공감’에서는 장소성, 일탈성, 교육성, 신성성, 대동성의 순서로, ‘1750시간여행 그날’에서는 장소성, 일탈성, 대동성, 교육성, 신성성의 순서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유산축제인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 체험속성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화유산을 활용한 체험형 축제의 개발과 기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문화유산 활용으로 관광객 참여를 증가시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균형을 맞춘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ributes of festival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festiv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two programs of the Royal Culture Festival. In this study, 277 survey samples taken from participants in the two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ve attributes labeled Education, Escape, Togetherness, Sacredness, and Placeness were extracted, and all of them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mong them, Placeness was revealed to be the strongest attribute of festival experience, followed in order by Escape, Education, Sacredness, and finally, Together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attributes of festival experience on satisfaction, “A Taste of Royal Cuisine” was ranked in order of Placeness, Escape, Education, Sacredness, and Togetherness, while “Time Travel to 1750” was ranked in order of Placeness, Escape, Togetherness, Education, and Sacredness.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framework for the planning of experience programs for cultural heritage festivals and suggest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experiential festival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t is aimed to help balance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tourists with the use of cultural heritag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관광정보,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예약부서 고객의 불평행동 분석
-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 호텔 로열티 프로그램이 인지적, 감성적,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한 성지순례자의 관광동기
-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관리 툴을 적용한 캠핑경험의 편익 분석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관광객의 관광지 접근성 분석
- 다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