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세법상 보증계약의 범위와 부종성의 적용에 대한 논의

이용수 0

영문명
Discussion on the Scope of a Contract of Suretyship and the Application of Appendant Nature under Tax Law: Seoul Administrative Court’s Decision in 2013 Goohap 5418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정지선(Chung Ji-Sun) 권형기(Kwon Hyung-Ki)
간행물 정보
『세무학연구』제31권 제4호, 297~32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은행과 신용보증기금 등간의 보증계약에 있어서 신용보증기금 등이 변제한 가액에 대하여 이를 이자소득으로 보아 과세할 수 있는지 여부를 연구한다. 과세관청은 신용보증기금 등이 변제한 가액을 이자(지연배상금 포함), 원금의 순서로 변제한 것으로 보아 과세처분하였으며, 조세심판원과 행정법원은 이와 같은 과세처분을 모두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세처분은 적법하다고 볼 수 없다. 은행과 신용보증기금 등간의 보증계약의 범위에는 주채무자의 지연배상금에 대한 채무가 제외되어 있다. 그렇다면 은행과 주채무자와의 채권채무관계에서 지연배상금을 과세처분할 수 있는지가 문제될 것이나, 변제능력이 없는 주채무자의 지연배상금 채무는 충분히 성숙․확정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납세의무가 성립하였다고도 볼 수 없다. 따라서 지연배상금에 대한 과세처분은 위법한 처분에 해당한다. 또한, 여신거래기본약관에 따라 주채무자가 은행에 변제한 가액에 대해서는 원금, 이자의 순서로 변제하기로 한 특별한 약정이 있었다는 것이 과세당국과 조세심판원의 확립된 입장이다. 그런데 보증채무에 대한 부종성의 법리에 따르면 보증채무자가 주채무자보다 불리하도록 보증계약을 해석할 수는 없다. 그러나 만약 보증채무를 이자, 원금의 순서로 변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면, 이자나 소멸시효 등에 있어서 보증채무자가 주채무자보다 불리한 계약이 된다. 따라서 사안의 보증계약은 원금, 이자의 순서로 변제하는 계약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세처분은 과세당국의 면밀한 법리 검토 없이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본 사안과 같은 경우에는 조세분야뿐 아니라 보증계약이나 부종성에 대한 민법상의 법리를 요하는 경우로서, 과세당국이 사전에 법체계 전반에 대한 충분한 법리적 근거를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조세 분야에 독자적인 특성이 존재한다는 점은 명확하나 조세법 역시 통일적인 법체계 아래에서 해석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으며, 과세당국이 법체계 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하는 과세처분의 폐해는 결국 납세의무자인 국민에게 전가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amount paid by credit guarantee fund under a contract of suretyship between bank and credit guarantee fund can be treated as interest income and thus be subject to taxation. Taxing authorities have been levying taxes on the payment of credit guarantee fund, by treating the payment as appropriation of interest (including damages for delay) first and then to principal. Tax tribunals as well as administrative courts have determined such taxation is lawful. The taxation on the payment of credit guarantee fund, however, cannot be considered legitimate. A contract of suretyship between bank and credit guarantee fund does not cover principal debtor’s obligation to pay damages for delay. While a question might arise regarding the taxation of damages for delay in a claim-obligation relationship between bank and principal debtor, it should not be subject to taxation since insolvent principal debtor’s obligation to pay damages for delay is not mature enough to be established for taxation. Therefore, it is unlawful to tax on damages for delay. In addition, taxing authorities and tax tribunals have consistently considered that a special agreement exists between bank and principal debtor that the amount paid by principal debtor to bank under the General Terms and Conditions for Credit Transactions is applied to principal and interest in the order given.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 of appendant nature on surety liability, a contract of suretyship must not be interpreted in a way more unfavorable to the guarantor than to the principal debtor. If payment under surety liability is interpreted as applying to interest and principal, in that order, the contract then becomes more unfavorable to the guarantor than to the principal debtor with regard to interest or extinctive prescription. Thus, the contract of suretyship should be construed so that payment applies first to principal and then to interest. Such a questionable taxation practices carried out by taxing authorities appears to be conducted without a thorough examination of relevant legal principles. Especially, because the matter at hand involves doctrines or principles related to not only tax law but also civil law, such as a contract of suretyship or appendant nature, taxing authorities should have obtained sufficient legal grounds across the entire legal system before imposition of tax. While the field of taxation comes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construction of tax law is also subject to the unified legal system. In the en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axation without taxing authorities’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legal system in general are shifted to taxpayers. We thereby suggest that taxing authorities should be reinforced with a number of new legal experts.

목차

Ⅰ. 서론
Ⅱ. 사안의 개요
Ⅲ. 신용보증기금법상 보증계약의 개념과 이사건 계약
Ⅳ. 보증계약의 범위와 지연배상금에 대한 과세 가능성 검토
Ⅴ. 보증채무의 변제충당순서에 따른 과세문제44)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선(Chung Ji-Sun),권형기(Kwon Hyung-Ki) . (2014).조세법상 보증계약의 범위와 부종성의 적용에 대한 논의. 세무학연구, 31 (4), 297-328

MLA

정지선(Chung Ji-Sun),권형기(Kwon Hyung-Ki) . "조세법상 보증계약의 범위와 부종성의 적용에 대한 논의." 세무학연구, 31.4(2014): 297-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