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윤훤의 <萊州雜詠>에 묘사된 17세기 초의 부산 동래

이용수 40

영문명
Busan Dongnae in the early 17th century described in Yun Hwon(尹暄)’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71輯, 125~1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동래부사 尹暄(1573~1627)이 남긴 <萊州雜詠> 17수를 통해 17세기 초 부산 동래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포는 <동래잡시>에서 부산 동래 지역의 순박한 풍속과 경관을 비롯해서 최치원으로 대표되는 神仙鄕의 모습, 홍간(?~1304)・周令 등 이 지역의 앞선 관료들에 대해 언급했다. 또 당시 유명했던 정자와 온천에 대해서 묘사하기도 했다. 20여년 뒤 정추는 일반적인 동래의 풍경보다는 신선향의 모습에 더욱 주목했고 古人들에 미치지 못하는 자신을 부끄러워하기도 했다. 윤훤은 앞선 두 작품과는 달리 각각의 소제목에 따라 17수의 7언 절구를 지었다. 해운대와 소하정 등 앞선 작품들과 공통되는 제재를 선택하기도 했지만 장산국・효자옥종손・정문도묘 등 새로운 제재를 발굴하기도 했다. 그 밖에 자신이 별관을 지은 후 그것을 제재로 시를 짓기도 했고 송공사를 지어 송상현을 추모하면서 그에 관한 시를 짓기도 했다. 필자는 윤훤의 작품을 앞선 두 작품과 비교하면서 세 가지에 주목할 수 있었다. 첫째는 <대마도>와 <송공사>에 나타난 일본에 대한 적개심과 전몰 선현들에 대한 추모의 마음이고, 둘째는 효의 중요성이 높아진 것이며, 셋째는 입신양명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다. 임진왜란은 신선의 고장인 동래에 까지도 전쟁의 상흔을 남겼고, 백성들이 충신・열녀・효자가 되길 바랐던 조선왕조의 의도는 윤훤의 시대에 와서 궁벽한 동래지역에까지 침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쉽게도 15세기와 16세기 동래의 전반적인 모습을 묘사한 작품은 발견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 시기에도 단편적인 작품들은 남아있으므로 그런 작품들을 시기별로 모아서 살펴본다면 15세기와 16세기 뿐 만 아니라 18세기와 19세기 동래의 모습을 재구성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14세기 이후 한시에 묘사된 부산 동래의 변화양상을 통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Dongnae in Busan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17 works of left by Dongnae Magistrate Yun Hwon(1573~1627). In , Jeongpo described the simple customs and scenery of the Dongnae region of Busan and the appearance of Sinseonhyang(神仙鄕-Taoist village) represented by Choi Chi-won. He also mentioned Honggan(?~1304) and Ju-lyeong(周令), the leading bureaucrats in this region. He also described the famous pavilions(亭子) and hot springs at the time. About 20 years later, Jeong Chu(鄭樞) paid more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Sinseonhyang(神仙鄕) rather than the general landscape of Dongnae, and was ashamed of himself for not reaching the ancient sages. Unlike the previous two works, Yun Hwon(尹暄) created 17 works of 7words poems according to each sub-title. Although he chose the same sanctions as his previous works such as Haeundae and Sohajeong, he also discovered new sanctions such as Jang San-guk(萇山國), Ok Jong-son(玉從孫), the filial son and the tombstone of Jeong Mun-do(鄭文道). Other than that, after he built the annex(別館), he wrote a poem using it as a material, and he built Songgongsa(宋公祠) to commemorate Song Sang-hyeon(宋象賢) and write a poem about him. Comparing Yun Hwon(尹暄)'s works with the previous two works, I was able to note three things. The first is the heart of remembrance of the war dead and the hostility toward Japan shown in and . The second is an emphasis on filial piety, and the third is a social atmosphere that pursues achieve fame and prestig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eft the scars of war even in Dongnae, the hometown of Sinseon(神仙) and we can see that the intention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nted the people to become loyal servants, filial daughters, and filial sons, penetrated into the remote Dongrae area in the era of Yun Hwon(尹暄). Unfortunately, I could not find any works depict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Dongna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However, fragmentary works remain even in that period, so if you collect and examine such works by period, you can reconstruct the appearance of Dongra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well a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f this study contin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view the changes in Busan Dongnae described in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14th century in a diachronic manne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지명의 유래와 인물들: 장산국・과정・효자옥종손・정문도묘
3. 경내의 명승지: 금정산・온천・태종대・동대・별관
4. 선경과 신선의 자취: 해운대・몰운대 ・겸효대・소하정
5. 변방의 기억과 추모: 대마도・부산・송공사・이정암비
6. 나오는 말: <동래잡시>・<동래회고>와의 비교를 겸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윤훤의 <萊州雜詠>에 묘사된 17세기 초의 부산 동래. 대동한문학, (), 125-149

MLA

. "윤훤의 <萊州雜詠>에 묘사된 17세기 초의 부산 동래." 대동한문학, (2022): 125-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