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손곡 이달의 이별시에 대하여

이용수 61

영문명
On Son’gok Yi Tal’s Farewell Poetr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71輯, 85~12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蓀谷 李達의 작품에 나타나는 離別의 의미와 離別詩의 성격, 그리고 제재의 형상화에 사용된 표현 수법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달의 작품에 그토록 많은 이별이 등장하는 것은 작품 속 시적 자아가 ‘나그네’이자 ‘떠돌이’이기 때문이다. 한곳에 머물지 못하고 곧 떠나야 하는 처지는 반복된 이별을 낳는다. 시적 자아가 떠돌이 생활을 하는 이유는 전란과 가난 때문이고, 그 때문에 이별 역시 더욱 처연하게 그려진다. 이러한 시적 자아의 모습은 실제 이달의 삶을 반영한 것이지만, 작품 속에서는 실제의 전란인 임진왜란이나 시인을 가난하게 만든 서얼 신분과 같은 역사적・사회적 맥락이 부각되지 않는다. 오히려 작품 속에서 이별이란 인간이 벗어날 수 없는 숙명적인 굴레와 같이 그려지며, 그의 이별시는 이러한 운명 속에 있는 인간의 ‘서러움’ 그 자체를 형상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악부시 등에서 이별을 주된 소재로 채택한 것 또한 이별이라는 것이 인간 정감의 곡진한 묘사에 적합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달의 이별시에 나타나는 표현 수법을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심상 활용의 방법에서 확인되는 특징이다. 첫째는 이별의 정서를 촉발하는 정경의 묘사에서 하강・어둠의 이미지와 浮動・浮遊의 이미지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청각적 심상의 효과적 활용이다. 두견새, 꾀꼬리, 가을 매미, 귀뚜라미, 기러기, 서릿바람 등 계절감을 보여주는 소리들이 작품 내부에 울려 퍼지면서 이별의 감정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章法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는 이별과 만남의 병치를 통해 이별의 정한을 더 깊게 하는 수법이다. 만남의 기쁨은 이별의 설움을 증폭시키고, 전란 중의 짧은 만남은 반가움보다는 슬픔을 가져온다. 만남의 시에서 과거의 이별을 말하고, 짧은 만남과 긴 이별이 연쇄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법은 숙명적인 굴레로서의 이별의 서러움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이다. 또 다른 기법은 전・결구 또는 미련에서 ‘내일의 이별’을 말하는 수법이다. 이는 장면화를 통해 절제된 감정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달은 조선 중기 學詩 방향의 전환을 상징하는 중요한 시인이며, 남아 있는 작품 수가 적은 만큼 이 작품들을 더욱 꼼꼼히 읽어볼 필요가 있다. 이때 그의 작품 세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별’에 대해 세심하게 들여다보아야 할 것이다. 이달의 이별시가 동시대의, 그리고 후대의 다른 시인들의 이별시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probe the meanings of farewel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n’gok Yi Tal’s farewell poetry, as well as the modes of expressions employed in verbalizing the subject matter. Good byes appear often in Yi Tal‘s poetry because his poetic self within the work is a ’wanderer’ and a ‘vagabond’. Being unable to settle down and having to leave produces repeated farewells. His poetic self wanders due to warfare and poverty - which compounds the sadness of the good byes. Although this poetic self reflects the actual personal history of Yi Tal, neith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nor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of the poet - for instance, of him being a sŏ-ŏl, which impoverished him - are made apparent in the poetry. Rather, farewell is depicted as a yoke of destiny in which no human can free themselves from. His farewell poetry focuses on illustrating the human ‘sorrow’ itself which is sealed inside fate. The decision to select farewell as the subject matter in his works, including yuefu poetry(樂府詩), also comes from the idea that farewell is the most apt subject for a genuine depiction of human sentiment. Next, modes of expressions in Yi Tal’s farewell poetry have been inspected in two aspects. The first aspec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apparent in the use of imagery; in describing the scene - which gives rise to the sentiment of farewell - Yi Tal often employs images of descent and darkness, as well as images of aimless drifting. Another in this aspect is the effective use of acoustic imagery; the sounds that are largely associated with seasons - such as cry of a cuckoo, nightingale, fall cicada, cricket, or a frosty wind - ring through the poems, working to deepen the sentiments of farewell. Following this,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composition techniques are discussed. First, Yi Tal juxtaposes farewells with encounters to highlight its sorrowful nature. The joy of the meeting intensifies the sorrow of the parting - and a brief encounter during the war brings sadness rather than delight. The farewells of the past are reminded in a poem about an encounter, and short meetings are followed by long separations. This mode of expression effectively communicates the sorrow of a good bye as a yoke of destiny. Another is to articulate the farewell of tomorrow in the last two lines of the poem; this mode serves to show the restrained sorrow through visualization. Yi Tal is an important poet who epitomizes a certain turn that took place in mid Chosŏn era - the turn towards admiration of the Tang poetry style. His works call for a more thorough inspection, especially since the number of the remaining works is scarce. And in doing so, ‘farewell’ is a topic that requires much deliberation because of the weight it carries in his works. Further discussion is warranted on whether Yi Tal’s farewell poetry shows any difference when compared to the farewell poetry of his peers, or the poets of later generations.

목차

1. 머리말
2. 이달 시에서의 ‘이별’의 의미와 이별시의 성격
3. 이달 이별시의 표현 수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손곡 이달의 이별시에 대하여. 대동한문학, (), 85-124

MLA

. "손곡 이달의 이별시에 대하여." 대동한문학, (2022): 85-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