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寒暄堂 金宏弼, 그리고 道東書院을 기억하는 방법

이용수 90

영문명
How to Memorize Han Hwondang Kim Goengpil(寒暄堂 金宏弼) and Do-dong Seowon(道東書院): Focusing on Chinese Poems Collected in Anthologie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71輯, 5~4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문집에 수록된 타인의 한시를 통해 한훤당 김굉필과, 그를 배향하고 있는 대구 현풍의 도동서원에 대한 후대인들의 시선과 기억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김굉필은 문집이 남아있질 않아 그에 대해 살필 수 있는 문헌은 단연 『景賢錄』을 꼽을 수 있지만, 여기에는 그의 저작이 매우 적어 학문적 여정을 살펴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追贈과 加贈 등을 위한 사후 평가와 관련한 문헌이 많아 수록 내용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이에 타인의 문집에 수록된 관련 한시를 수집 조사한 결과, 김굉필과 직접 교유했던 당대 인물부터 20세기 인물인 면우 곽종석에 이르기까지 작자의 생몰년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제영 대상은 김굉필이 평생 주력했던 ‘小學’이라는 텍스트, 그가 젊은 시절 주로 머물렀던 합천과 거창, 2차례 史禍로 인해 머물렀던 유배지 희천과 순천, 그리고 도동서원이 자리하고 있는 현풍을 중심으로 창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합천의 경우 정여창과의 주요 강학 공간이었던 小學堂과 志同巖, 거창의 경우 그의 동서였던 최숙량과 정여창이 함께 노닐었던 水瀑臺 및 이들 3인의 만남을 기념하고자 최숙량의 후손들이 건립한 慕賢亭, 그리고 현풍의 경우 그의 고택과 도동서원 등이 주요 음영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김굉필 당대에 지어진 시문의 경우, 정치적 불운을 겪은 김굉필에 대한 애도와 추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가, 후대로 갈수록 도동서원이라는 공간으로 작자의 시선이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마 후대인에게 김굉필은 과거의 인물이고 도동서원은 현존하는 눈앞의 공간으로 다가왔기 때문일 듯 하다. 도동서원의 사액 시기가 17세기 전반임에도 이에 대한 題詠詩의 대부분이 18,9세기에 활동한 문인작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이 시기 지식인들이 외세의 무분별한 침략에 심각한 혼란을 겪었던 상황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도동서원은 근대전환기를 마주한 지식인들에게 김굉필에 대한 추모, 그리고 후학들의 강학 공간으로만 기억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유학의 역할을 고민했을 이 시기 지식인들은 도동서원을 마주하며 국운 회복과 유교 부흥, 그리고 도학 계승을 염원하는 공간으로 기억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descendents’ views and memories on Han Hwondang Kim Goengpil and Do-dong Seowon in Hyeonpung, Daegu, which has enshrined him, by referencing to others’ Chinese poems collected in anthologies. There remains no Kim Goengpil’s anthologies, so only Gyeonghyeonrok(景賢錄) may seem to be selected as a reference for him, but there are, however, few writings of him,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his scholarly career and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the contents collected in them, as there are a lot of literature regarding the post-evaluation for Chujeung(追贈) and Gajeung(加贈). Hence, the Chinese poems collected in others’ anthologies were examined to show that the birth and death dates of authors from the contemporary figures who directly interacted with Kim Goengpil to Myeon-u Gwak Jongseok who lived in the 20th century are evenly distributed, and that the subjects of Chinese poems recited primarily include the text of ‘Sohak(小學)’ on which he concentrated his efforts for a life; Hapcheon and Geochang, in which he often stayed when he was young; Huicheon and Suncheon, in which he stayed twice due to Sahwa(史禍); and Hyeonpung in which Do-dong Seowon is placed. Main places recited in the Chinese poems include Sohakdang(小學堂) and Jidongam(志同巖), the spaces used for the lectures conducted together with Jeong Yeochang in Hapcheon; Supodae(水瀑臺) in which he strolled about together with his sister’s husbands, Choi Sukryang and Jeong Yeochang and Mohyeongjeong(慕賢亭) which Choi Sukryang’s decendents constructed to celebrate the meeting of them in Geochang; and the site in which an old house is located and Do-dong Seowon in Hyeonpung. In the process, the contemporary poetry and prose about Kim Goengpil were created by concentrating on grief and reverence for him who suffered from political vicissitudes, but shifted the authors’ focus to the space of Do-dong Seowo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probably implying that the descendents regard Kim Goengpil as a past figure, but view Do-dong Seowon as an existent space before their eyes. Although the title board for Do-dong Seonwon was bestowed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Jeyeongsi(題詠詩) about it primarily consist of works created by literary men who lived in the 18th-19th century,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suffered from serious chaos caused by foreign countries’ reckless invasion. Do-dong Seowon was memorized by intellectuals who faced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not only as the space for reverence for Kim Goeingpil and for junior scholars’ lectures. The intellectuals, who might be more concerned about the role of Confucianism than ever, thus attempted to memorize Do-dong Seowon as the space for wishing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destiny, the revival of Confucianism and the succession of Confucian philosophy.

목차

1. 들어가며
2. 김굉필에 대한 기록, 그리고 한시
3. 한시를 통해 본 김굉필에 대한 기억
4. 도동서원에 대한 기억과 그 의미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寒暄堂 金宏弼, 그리고 道東書院을 기억하는 방법. 대동한문학, (), 5-47

MLA

. "寒暄堂 金宏弼, 그리고 道東書院을 기억하는 방법." 대동한문학, (2022): 5-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