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30년대 『한글』지에 실려 있는 전북지명자료의 표기 특징

이용수 50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 of Jeonbuk Place Names in the 1930s Magazine Hangeul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정태(Kim Jeong-ta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11輯,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1930년대 『한글』(1937~38)에 실려 있는 전북지역 지명자료의 표기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들 자료에 대해, 일차적으로는 현재의 위치를 비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명총람』(1981)의 지명들과 『한글』(1937~38) 이전의 문헌 지명들, 이를테면 『호구총수』(1789) 등을 확인하였고 수차례의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차적으로는 274개의 전북지역 전래지명과 그에 대응하는 한자어화 지명을 표기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한글』(1937~38)의 전래지명과 이에 대응하는 한자어화 지명의 표기상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차자표기 방식인 음차, 훈차, 음·훈 병차, 훈음차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한글』(1937~38)의 고유의 전래지명과 한자어화 지명 사이에는 세 가지의 대응 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한글표기지명인 전래지명과 한자어화 지명 사이에 완전하게 대응하는 지명들, 일부분만 대응하는 지명들, 대응을 보이지 않는 지명들이다. 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상 지명의 정확한 형태와 의미를 파악코자 하였다. 둘째, 『한글』(1937~38)의 대상 지명 중 잘못 표기되어 있는 지명자료를 분석 확인하였다. 오표기 지명들이다. 이러한 분석도 대상 지명의 형태와 의미에 대한 정확성을 기할 뿐만 아니라 왜곡된 정보를 막을 수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오표기는 대부분 글자 모양이 유사함에 기인한 것이었다. 본고는 『한글』(1937~38)에 실려 있는 전북지명자료의 국어자료로서의 표기 특징을 파악한 것이다. 이는 이 외의 수많은 전북지명을 연구하는데 방법론에서 기여할 것이고, 향후 지명 제정 및 개정 등에도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 of Jeonbuk place names in Hangeul (1937-38), a magazine published in the 1930s. To assess the place names from a modern perspective, comparisons were made with The Dictionary of Korean Place Names(1981), and several on-sit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cription of traditional place names of 274 Jeonbuk places. First, it examined the traditional place names in Hangeul(1937-38) and their corresponding Sino-Koreanized place names. Traditional borrowed character transcription methods, such as eumcha, huncha, eum/hunbyeongcha, and huneumcha, were used. Three types of correspondence were found between traditional place names and Sino-Koreanized place names, namely, full correspondence, partial correspondence, and non-correspond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place names and Sino-Koreanized place names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accurate form and meaning of place names. Second, this paper identified and analyzed incorrect transcriptions of Jeonbuk place names in Hangeul (1937-38). The analysis was intended to not only enhance the accuracy of the form and meaning of place names, but also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information. Most incorrect transcriptions were due to similarities in character shapes.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buk place names in Hangeul(1937-38), approaching it as a resource on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other research methodologies on Jeonbuk place names, and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in future naming and amendments.

목차

1. 서론
2. 『한글』지 소재 전북지명자료의 표기 특징 분석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태(Kim Jeong-tae). (2022).1930년대 『한글』지에 실려 있는 전북지명자료의 표기 특징. 어문연구, 111 (1), 5-35

MLA

김정태(Kim Jeong-tae). "1930년대 『한글』지에 실려 있는 전북지명자료의 표기 특징." 어문연구, 111.1(2022):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