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이용수 146

영문명
A Study of Korean Instructors’ Perceptions on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기영(Yi Kie-yo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11輯, 265~29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19 발생 이후 지속되어온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의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교수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해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수자들의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편이었다. 특히 비대면 평가가 교수자들의 들인 노력에 비해 학습자들이 배운 교육 내용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 공정한 시험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 즉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의문을 표하였고 시행 과정에 대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반면, 비대면 평가는 기록이 남고 학습자들의 과제나 답안지 등이 LMS 등에 남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처럼 보관할 수 있다는 것과 인터넷 기반의 평가를 했을 때 채점이 용이하다는 것, 학습자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시험을 보기 때문에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말하였다. 교수자들이 이야기한 비대면 평가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평가 유형이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유연함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평가 특성에 맞는 시험 문항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정한 시험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기관 차원의 지원 및 교육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효율적인 과제 평가를 위해서 온라인 평가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면 교수자들과 학습자들의 정서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갑작스럽게 찾아온 비대면 교육이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서 대학 기관과 교수자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 왔다. 하지만 비대면 평가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이제 위드 코로나라는 새로운 전환점 앞에 서 있지만 비대면 교육은 다양함이 존재하는 이 시대에 또 다른 교육 대안으로 존재하며,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예측해 본다. 따라서 비대면 평가의 문제점들은 개선하고 좋은 점들은 대면 평가에도 적용해 보면서 새로운 대안적 평가들을 찾아가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est in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instructors on it. Based on this, I tried to find suggestions for the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Instructors perception of non-face-to-face achievement test were generally negative. In particular, they expressed doubts abou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since it was not sure whether the learners could deliver what they learned as good as possible and whether the test could be made fairly, and they expressed the hassle and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the test. On the other hand, they said that non-face-to-face test is positive in that it can be stored like a portfolio because the records are left and learners assignments and answers are stored in LMS, that it is easy to grade when evaluated on the web, and that it seems to relieve tension of the learners because the test is taken in a familiar environment to the learner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test, first, new approaches and flexibility to evaluation types and methods are needed. Seco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st questions specifically suitable for the non-face-to-face test. Third,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for fairness of the test. Fourth, institutional support and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est for efficient task evaluation. Finally, when a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 is established, emotional anxiety among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be reduced. Amid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universities and instructors have made constant efforts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and provide quality education. However, non-face-to-face test is yet a difficult task. Now, we are facing a new era of “With Corona”, but non-face-to-face education exists as another educational alternative in this era where diversity exists, and we can predict that face-to-face classes and non-face-to-face classes will coexist.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find new alternative test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test and applying its advantages to the face-to-face test.

목차

1. 들어가기
2. 이론적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영(Yi Kie-young). (2022).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어문연구, 111 (1), 265-297

MLA

이기영(Yi Kie-young).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어문연구, 111.1(2022): 265-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