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관-대학 협업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실제

이용수 305

영문명
The Actual Operation of an Institution-University Collaboration Extracurricular Liberal Arts Program: Focusing on Local Community Problem-solving Living Lab Activities Cas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임수경(Lim, Su Ky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6호, 191~20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문제해결 혁신 플랫폼인 ‘리빙랩(Living Lab)’을 접목시킨 비교과교양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실제를 분석하여 기관과 대학과의 협업형태로써 대학교양교과로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질적인 리빙랩 사례를 도출하기 위해 지역사회 주요 기관과 대학이 연계하여 지역사회 쟁점을 도출하고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지역주민(마을공동체)과 대학생(리빙 랩동아리)이 함께 참여하는 연합팀활동 방식을 차용했다. 이때의 지역사회 협업 리빙랩 활동은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의 모든 역량을 골고루 키울 수 있는 종합역량활동이면서 동시에 지역사회와 협업한다는 가치를 가진 교양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 다. 또한 리빙랩 활동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기 위해서, 15주차의 정규교과가 아닌 3개월 이상, 단계별 활동 구성이 가능한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운영했다. 대학은 세대와 지역을 넘어 대학-학생-주민-기관을 연결하는 ‘소통과 융합’을 실행할 수 있는 인재양 성을 목적으로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토록 결정했다. 대학 비교과교양프로그램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 ⑶실재운영 단계와 ⑷결과검증 단계에 앞서 ⑴유형설계 단계와 ⑵과정설계 단계를 거치며 보다 안정적인 대학 리빙랩 비교과프로그램 모델을 구축했다. 이번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사례는 ‘활동을 통한 콘텐츠 개발형’으로 진행했다면, ‘토론을 통한 정책제안형’이나 ‘정책제안 및 콘텐츠 개발 혼합형’ 등 다른 형태로의 사례도 충분히 확장으로써 다각적인 교육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면밀하게 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효과의 검증을 이루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operate an extracurricular liberal arts program that combines (combines a Living Lab with what? An object is needed here), a “Living Lab” (a problem-solving innovation platform used worldwide), and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a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in the form of collaboration with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n order to derive practical Living Lab cases, major institutions of the local society and universities linked together to highlight community issues and implemented a joint team activity involving local residents (from the village community), as well as college students (from Living Lab clubs) as the subjects for problem-solving. The local community collaboration Living Lab activity was judged to be a comprehensive competency activity that can evenly develop all the capabilities of the core competency indicators of college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as a comparative and cultural program that proved valuable as a means of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institution of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has proposed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participating students and supervisors (mentoring) of the university in conducting a joint Living Lab project, with a local community of residents. The aim of this ambitious project was the re-promotion of areas in crisis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in the hopes of making use of non-face-to-face IT technology that can help residents and students alike overcome the challenges presented by the COVID-19 situation, and ultimately create a driving force behind innovation. The university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together with the purpose of fostering talents who can carry out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that connects universities, students, residents, and institutions beyond generations and regions. As mentioned earlier, Korea s Living Lab is currently in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compared to that of Europe and other participating regions. But since there is no systematic theory or formalize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Living Lab programs, formative research is needed using new attempts and examples rather than following proven theories and methods. In particular, in order to apply this project as a university extracurricular liberal arts program, efforts were made to establish of a more stable university Living Lab comparison program model before the actual operation stage and result verification stage were added through (a) the tangible design stage and (b) the course design stage. was put in. In the event that this type of Living Lab extracurricular liberal arts program is conducted as a “content development type program through activities,” other types of cases such as a “policy proposal program through discussion” or a “mixed policy proposal and content development program” could be sufficiently expanded upon to create multiple educational effects. We aim to complete this program with follow-up studies, and by more closely designing the program and verifying its educational effects.

목차

1. 서론
2. 기관-대학 협업 리빙랩의 현황
3.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실제
4.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제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수경(Lim, Su Kyung). (2021).기관-대학 협업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실제. 교양교육연구, 15 (6), 191-204

MLA

임수경(Lim, Su Kyung). "기관-대학 협업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실제." 교양교육연구, 15.6(2021): 191-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