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이용수 124

영문명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rough University Liberal Arts: Focused on Cases of “Media Literacy and Creative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희용(Lee, Hee Yo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6호, 221~23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규정한 후, 이를 근거로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을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함께 현대 대학 교양교육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본 연구는 다양한 이론 연구를 토대로 실제적으로 가르쳐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로, 사전설문조사를 통해 강의 초 수강생들이 갖고 있는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수강생 대부분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미디어에 대해서도 이해도가 낮았으며, 지금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의 문제와 해결방 안에 대해 적절한 대처 능력을 갖지 못하였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미디어를 활용하는 교육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사전설문조사에 참여한 수강생 중 30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적 방식의 인터뷰를 통해서 미디어에 대한 수강자들의 태도와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강의의 15주 교육과정을 마친 후에 수강자 대부분은 미디어가 영향을 강하게 미치고 수강자들의 의식과 삶을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 으로 규정할 수 있다는 시각과 함께 미디어 메시지의 정확성, 공정성 또는 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미디어에 대한 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15주간 학습과정을 통해 나타난 학습효과들을 구체적 제시하였으며, 본 강좌를 수강생들이 미디어에 대한 핵심 역량(접근역량, 비판적 이해역량, 사회문화적 참여역량)을 실제적으로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양교과 모델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rough university liberal arts, focusing on cases involving ‘media literacy & creative communication’, which is defining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researchers examined the cas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lready being implemented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ay be noted: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an analysis was made based on various theoretical studies. Secondly, th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in the beginning of the lecture was check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Most students were not fully aware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had low understanding of media, and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cope with problems of digital media, such as “fake news” and the practice of the “deep fake.” Thirdly,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we learned that students’ attitude and perceptions were changed to an enhanced extent after 15 weeks of being enrolled in the curriculum. Most students’ understanding, analytical skills, and critical ability of media seem to have grown significantly.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found among students from their studies after being enrolled in the curriculum for 15 weeks, and presented plans to activate ‘media literacy and creative communication’ among the students as a effective curriculum model of liberal arts.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students can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media, such as an ability to properly approach media, and to improve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socio-cultural participation capabilities.

목차

1. 서론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론적 접근
3.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의 교과과정
4. 수강자의 인식변화와 효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용(Lee, Hee Yong). (2021).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교양교육연구, 15 (6), 221-236

MLA

이희용(Lee, Hee Yong).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교양교육연구, 15.6(2021): 221-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