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사구조이론을 활용한 고등학생 논증 텍스트 분석 및 지도 방안

이용수 25

영문명
Low-level Argumentative Text Analysis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Rhetorical Structure Theory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빛나(Lee, Bin-Na)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7권 제2호, 255~27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쓰기 하위 수준에 속하는 논증 텍스트의 의미 구조를 분석하여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 지도 방안을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부터 11월에 걸쳐 대전 소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참여 의사를 밝힌 87명의 글을 수집하였으며 이들 중 하위 30%에 속하는 26편의 글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 쓰기 하위 수준 텍스트에는 주제문에 해당하는 핵 이 불분명하므로 글을 쓰기 전 논제에 대한 입장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글 쓰기에 임해야 함을 지도해야 한다. 둘째, 쓰기 하위 수준 학생들은 찬반이 분명히 정해진 논증글에서 상반된 의견이 모두 존재하는 일관성 없는 글을 작성하기 쉬우므로 중심을 두는 핵 을 분명히 설정한 뒤, 반대되는 측면의 내용은 양보 나 반론 의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그 표현과 양을 조절할 수 있게 교육해야 한다. 셋째, 쓰기 하위 수준 학생들은 증거 의 효력이 상실된 내용을 논거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감정적인 호소의 내용보다 객관적이거나 구체적인 사실 및 자료로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여야 함을 지도해야 한다. 넷째, 쓰기 하위 수준 학생의 글은 증거 의 내용이 현저히 부족하므로 내용을 생성하여 충분히 논제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지도해야 한다. 다섯째, 유기적인 연결성을 상실한 채 의미 없이 나열된 표현들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문단별 중심 의미를 확인하고 그 내용 상 중복되는 부분이나 삭제해야하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논증글 하위 수준 글 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개선을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writing low-level argument text to create an appropriate training guidance plan for lower-level ability students. Thus, we analyzed 26 argument low-level texts centered on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to discover semantic structural problems and present guidance measures regarding them. First, the low-level argumentative writing was unclear about the ‘nuclear’ corresponding to the main sentence of a topic, so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to clearly present their position regarding the topic before writing and expressing it in their detailed writing. Second, students with low-level abilities in writing often fail to present their positions ‘consistent’ with argumentative articles. At this time,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reveal whether their opposing argument is ‘concession’ or ‘anthesis’. Third, students with lower level skills in writing often present ineffective ‘evidence’ as an argument, so they should be guided to increase their writing’s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objective or specific facts and materials rather than expressing emotional appeals. Fourth, students with low-level writing skills produce work that is significantly lacking in ‘evidence’, so strategies should be offered to generate enough content for it to be evidence. Fifth, if an expression in the writing is found to lose connectivity and sporadically disperses content, instruction on how to identify the central meaning of each paragraph and ensure that there is no overlap in the content should be given.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we can contribute to existing teaching methods by understanding how students with low-level skills in argumentative writing organize their texts and presenting guidance measures for teachers to bring about impr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수사구조이론의 개념과 주요 특성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빛나(Lee, Bin-Na). (2021).수사구조이론을 활용한 고등학생 논증 텍스트 분석 및 지도 방안. 교원교육, 37 (2), 255-277

MLA

이빛나(Lee, Bin-Na). "수사구조이론을 활용한 고등학생 논증 텍스트 분석 및 지도 방안." 교원교육, 37.2(2021): 255-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