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lmmLasso 기계학습 기법을 통한 일반고와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 예측 변수 탐색

이용수 46

영문명
Exploration of Variables to Predict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via glmmLasso,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A Comparison of Genera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유진은(Yoo, Jin Eun) 구미령(Koo, Miryeo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7권 제2호, 467~48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소속감이 중도탈락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고등학교 학생에 대한 학교소속감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에서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는 탐색적 연구가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일반고 및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소속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교육종단연구 2016 4차년도 데이터의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 교사, 교장, 학교 변수를 모두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75개 일반고 1,775명의 824개 변수 자료와 36개 특성화고 739명의 854개 변수 자료를 기계학습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고와 특성화고에서 각각 20개와 21개의 학생, 교사, 학교 관련 변수가 선택되었다. 학교소속감을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교사, 교장, 학교 변수까지 모두 모형에 투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변화를 꾀하였다.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glmmLasso를 활용하여 변수 선택 시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반영한 점 또한 연구 의의라 하겠다. 특히 특성화고 자료는 사례 수보다 변수 수가 더 많은 고차원 자료였으므로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주제 또한 논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at-risk students including early dropouts,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belonging. While confirmatory research requires solid theoretical background, exploratory research particularly via machine learning is unbounded by established theory and thus can make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and identifying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students’ sense of belonging enrolled in genera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ELS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6 fourth wave data (824 variables of 1,775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54 of 739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with glmmLasso,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particular, vocational high school data were high-dimensional and thus machine learning was a necessary tool. Specifically, glmmLasso, grouped as penalized regression among machine learning, is known to consider the hierarchical data structure resulting from multistage sampling schemes in variable selection. Among student,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variables explored, a total of 20 and 21 variables were selected as important for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respectively. Policy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진은(Yoo, Jin Eun),구미령(Koo, Miryeong). (2021).glmmLasso 기계학습 기법을 통한 일반고와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 예측 변수 탐색. 교원교육, 37 (2), 467-486

MLA

유진은(Yoo, Jin Eun),구미령(Koo, Miryeong). "glmmLasso 기계학습 기법을 통한 일반고와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 예측 변수 탐색." 교원교육, 37.2(2021): 467-4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