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온라인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187

영문명
A Study on the Cases of Online Untact Writing Class at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임선숙(Lim Sun Sook)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4호, 345~3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학년도 1학기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대학이 비대면으로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수업 매체는 바뀌었지만, 기본적으로 대학글쓰기는 학문 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담화 형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연구는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주목해서,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수업 방법과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 맥락은 ‘학습환경’과 ‘교수자’ 그리고 ‘동료 학습자’라고 할 수 있다. 우선 ‘학습환경’은 학문 공동체의 담화 지식인데, 동영상 콘텐츠로 이론과 예시 수업을 진행했다. 동영상 콘텐츠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반복 학습이 가능하며,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자발적인 모델링을 통한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다음‘교수 학습’은 실시간 수업과 이러닝 과제함, 메시지함 등을 통한 피드백으로 진행했다. 온라인 피드백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과정을 공유할 수 있어서 다음 단계의 피드백에 용이했으며, 대면 수업의 지면 피드백 과정보다 학생들이 결과를 확인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횟수도 늘릴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 학습’은실시간 발표 토론과 이러닝 게시판 토론으로 진행했다. 온라인 수업은 발표와 토론의결과물을 학습자들이 공유할 수 있으며, 토론 게시판을 통해 모든 학생들을 토론에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비대면 수업은 불가피한 상황에 진행된 수업 방식이었지만, 향후 대면 수업에서도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tarting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most universities have been offering untact courses in light of the COVID-19 pandemic. Even when a class adopts the untact mode of learning, the subject has the same goal, and the objective of university writing is to acquire the forms of discourse shared by academic communities. Focusing on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classes organized to help students learn the forms of discourse efficiently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an untact class based on the e-learning system, and to consider its utility. According to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ism, the factors of social context in which learners can interact with one another include, “learning environment”, “the instructor”, and “peer learners”. Essentially, “learning environment” refers to the knowledge of academic communities, and the class deals with theories and examples through video contents. This allows students to learn consistently with no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and encourages them to learn through voluntary modeling that can help enhance self-efficacy. Next, “instructor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feedback based on real-time class, the e-learning assignment box, and the message box, etc. Online feedback is considered the next-step feedback as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s both share all the processes of the feedback. Compared to paper feedback in a face-to-face class, online feedback can shorten the verification time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feedback through various channels. Lastly, “peer learning” is conducted with real-tim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s well as e-learning bulletin board discussion. Online discussion allows learners to share the outcome of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nd encourages all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through the bulletin board. Although untact classes have been adopted as a mode learning in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face-toface classes, as well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비대면 수업 방안의 이론적 고찰
3. 이러닝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실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선숙(Lim Sun Sook). (2021).비대면 온라인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2 (4), 345-375

MLA

임선숙(Lim Sun Sook). "비대면 온라인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2.4(2021): 345-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