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북 여성이주 서사에 나타난 행위자성과 장소의 재구성

이용수 157

영문명
Agency and Reorganization of Places i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Narrative: With a focus on JJillae-flower and Kundon and Condom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엄미옥(Eom Mi Ok)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1호, 491~5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0년대 중반 이후 고난의 행군시기에 시작된 탈북 디아스포라 현상의 가장 큰특징이 탈북의 여성화이다.전지구화된 자본의 이동 속에서 북한과 중국을 둘러싼 정치·경제적 상황은 여성의 이동성을 초래했고 탈북여성들은 젠더화된 이주형태를 보이지만 동시에 자율적인 이주 주체로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왔다.즉 탈북여성은 북한-중국-남한으로의 초국적 이주경험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장소성을 창출하는 행위자가 되는 것이다. 본고는 『찔레꽃』과 『큰돈과 콘돔』을 대상으로 탈북 이주여성이 이동하는 공간에서다양한 스케일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어떠한 장소성과 행위자성을 구현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찔레꽃』에서 충심은 이주과정에서 고통받는 피해자 혹은 정책적 시혜의 대상으로수동적으로 정체성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자신의 몸을 통해 국가 스케일에 저항하고,“자기위신”을 지키는 자기유지의 약속을 이행한다.나아가 북한의 부모에 대한 돌봄행위를 통해 남한이라는 장소와 협상하고 우울증적 주체에서 벗어나는 행위자성을보여준다.『큰돈과 콘돔』에서 창숙은 분단의 경계와 남한사회의 질서 속에서 동화의대상으로 위계화된 위치에 놓이지만 장소에 따라 유동적인 행위자성을 통해 다양한스케일의 정치를 실현한다.또 같은 공동체와의 유대 및 초국가적인 가족 등 다층적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한다.이러한 탈북여성의 행위자성은 우리사회의 일방적인 동화주의에 입각한 사회통합담론에 대한 성찰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diaspora phenomenon in escape from North Korea, which began during Arduous March in the middle 1990s, is the feminization of such escape.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around North Korea and China in the globalized flow of capital caused the mobility of women. This led to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exhibiting a gendered form of migration that simultaneously formed an autonomous subject of migration. Therefore, they reorganized their identity and became an agent to create of various scales through their transnational migration experiences from North Korea through China to South Korea. This study to examine the placeness and embodied b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mutual relations with various scales in spaces they traveled in JJillae-flower, Kundon, and Condom. In JJillae-flower, Chung-sim resists the national scale through her body and carries out her promise of self-maintenance to keep her instead of forming her identity passively as a suffering victim or object of policy benefits in the migration process. Furthermore, she exhibits her agency of negotiating with South Korea and escaping from her depressive subjects by engaging in an act of taking care of her parents in North Korea. In Kundon and Condom, Chang-suk is placed in a hierarchic position as an object of assimilation at the boundary of division and in the order of South Korean society, but she manages to realize her politics of various scales through her fluid agenc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laces. Additionally, she creates a new placeness of establishing a multi-layered network including solidarity with the same community and transnational family. This agenc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raises a need to reflect on the discourse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one-sided assimilation in the society.

목차

1. 탈북의 여성화와 초국적 이주
2. 자기유지의 행위자와 거시스케일에의 저항
3. 유동적 행위자와 다층적 네트워크의 형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미옥(Eom Mi Ok). (2021).탈북 여성이주 서사에 나타난 행위자성과 장소의 재구성. 리터러시 연구, 12 (1), 491-518

MLA

,엄미옥(Eom Mi Ok). "탈북 여성이주 서사에 나타난 행위자성과 장소의 재구성." 리터러시 연구, 12.1(2021): 491-5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