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의 冠帽

이용수 449

영문명
Kwanmo of the Sill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혜진(Kim Hye-ji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6집, 393~42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사회에서 관모는 사회 발전에 따라 사회적 지위나 역할의 표시로서 가장 상징적인 기능을 하였다. 특히 신라의 관모는 관모 기능의 바탕이 되는 관모제도를 중심으로 시기별로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면서 정비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변국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고 신라만의 독자적인 체계를 성립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신라의 전시기에 걸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검토는 상대적으로 도외시되었고, 금관 내지 개별 유물의 양식 연구 등으로 편향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관’에 치중된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신라 관모에 대한 종합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여 신라관모의 성격과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가장 이른 시기의 관모가 확인되는 3세기 대에는 아직 상하서열에 따른 관모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 대략 4~5세기대의 관모와 관련한 문헌사료는 남아 있지 않아서 주로 고분출토 유물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6부체제가 성립되었던 마립간기 어느 시점부터 신분과 지위에 따른 관모제도가 성립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시기 관모 재료나 종류에 따라 착용자의 신분이 나 지위가 달랐으며, 특히 여성들도 남성들과 같은 관모를 착용하였다. 이 후 삼국사기 법흥왕대 공복제정 기사와 함께, 대략 5~6C로 추정되는 각종 신라 토우, 인물 암각화 등을 통해서 신라 고유 관모의 착용과 사회적 지위와 역할에 따라 달리 착용하였던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 후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당나라의 의관제를 점차적으로 수용하였다. 7세기로 접어들면서 복색제도가 체계화됨과 동시에 관모제도 또한 더욱 체계화 되었으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 착용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가장 상징적인 것이 관모로 확실히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통일 이후로 추정되는 유물자료들을 통해서 당제 수용 직후에는 신라 고유 양식의 관모 착용이 더욱 지배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후 점차적으로 복두와 같은 중국식 관모가 일반화 되었으나, 고유양식과 외래양식의 결합으로 독특한 관모 문화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고찰해 본 신라 관모의 변천과 관모제도의 정비과정을 바탕으로 신라관모 문화의 특징과 성격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모는 신라 국가 발전과 전개에 있어서 과도기 혹은 개혁이 되는 시기마다 관모제도의 정비로 나타났으며, 즉 관모는 당시 사회상을 가장 잘 반영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유물자료에서 나타나는 신라 관모의 변화상은 제도의 정비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관모제도의 변화는 제도적 장치로 역할 하였을 뿐 실제 관모 착용은 어떤 사회체제 변화의 결과물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신라의 가장 독특한 관모라고 할 수 있는 出자형 대관, 여성의 관모 착용, 개혁적인 외래 관모의 도입에도 고유양식을 결합하여 발전시킨 점 등을 신라 관모문화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영남지역의 자연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일찍부터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적 특성과 전통을 갖고 있었던 신라문화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확실한 자료가 되는 것이 바로 신라관모라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In ancient society, Kwanmo had extremely symbolic function, as social status or the indication of a person s role in accordance with social development. Especially Silla s Kwanmo changed in a various, and consolidated many-sided as the central Kwanmo system based on the function of Kwanmo. But Comprehensive study of Silla Kwanmo is disregard relatively so far. And Earlier studies mainly focused only on the patterns of individual relics. So this study will digress from Earlier studies that put more emphasis on golden crowns, and then try to Comprehensively review Silla s Kwanmo, and will find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with establishment of Kwanmo system. As a result of reviewing historical literature and data and material remains by perio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Kwanmo system under the hierarchy was concerned with Kwanmo of metal materials and the formation of Silla Lyukbu (六部) system during around 4th~5th centuries, and on the whole, Kwanmo of Silla s own style was worn differently in its materials or kinds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and social class until the systems of the Tang Dynasty was accepted. And the reform of the Kwanmo system was examined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and during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Period focused on Ui-gwan office system of Samguksaki. Especially, taking the systems of the Tang Dynasty, the Kwanmo system was systematized still more, but in spite of that, unique and creative culture was formated by wearing Silla s own style as it was or by combining it with foreign style. And it could be found that though it was limited, women wearing Kwanmo was continued even after unification.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Silla Kwanmo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as Silla society was developed, improvement of the Kwanmo system was made during every transitional period or every reform movement. Namely, it can be said that Kwanmo reflected most the phases of society at the time. Second, changes in Silla Kwanmo do not correspond clearly to the reform of the system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change in the Kwanmo system just played a role as a institutional device and practical Kwanmo wearing was not a result of change in a certain social system. Third, the great crown of Chul (出) character type, Women s Kwanmo waering, and the fact that despite introduction of innovative foreign Kwanmo, they developed it mixing its own style with foreign Kwanmo can be pointed out as characteristics of Silla Kwanmo culture, which is related to physical geographical features of Yeongnam areas which made it possible to have creativ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since a long time ago, and it can be said that Silla Kwanmo becomes definite data to well reflect this nature of Silla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초기 관모와 관모제도의 실시
Ⅲ. 삼국사기 의관제 기사와 신라관모
Ⅳ. 당제 수용 이 후의 신라관모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Kim Hye-jin). (2020).신라의 冠帽. 민족문화논총, 76 , 393-429

MLA

김혜진(Kim Hye-jin). "신라의 冠帽." 민족문화논총, 76.(2020): 393-4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