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말 ‘부민(富民)’ 개념 의미장의 변화 양상

이용수 87

영문명
A Study on Changes in the Semantic Fields of ‘ Bumin ’ Concep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Newspaper Media during the Open Port Period-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문경득(Mun Gyeong-deu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6집, 39~7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민(富民)’이라는 개념은 ‘백성을 부유하게’라는 뜻과 ‘부유한 백성’이라는 두 가지 뜻이 있다. 본 논문은 개념사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부민’ 개념의 의미장을 분석하였다. 먼저 ‘백성을 부유하게’ 하자는 부민 개념은 도덕적 교화라는 이상적 목표와 안민이라는 현실적인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써 유교의 경세 담론 내에 있었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론은 감세와 절용이었다. ‘부유한 백성’에게 자신의 재산을 내어 구휼 등 재정이 필요한 사업에 조력자로 참여하도록 하자는 논의를 정당화하는 논리도 ‘먼저 부유하게 한 뒤에 가르치자’는 부민 담론의 영향 아래 있었다. 그러나 다수의 사례에서 부민은 권력자의 수탈과 도적떼의 약탈에 의한 피해자로 등장하고 있었다. 반면 개항기 부민 개념의 의미장은 탈유교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백성을 부유하게 한 뒤에 가르친다’는 논리는 역전되어 ‘가르쳐야 백성을 부유하게 할 수 있다’로 바뀌었으며, 가르쳐야 하는 내용 또한 산업을 진흥시킬 수 있는 서구의 지식과 학문으로 변화했다. 또한 부민의 지향조차도 정덕, 안민, 인정, 왕도정치와 같은 유교적 목표가 나라의 부강함이라는 현실적 목표로 대체되었다. 유교의 경세론과 도덕윤리에서 끌어온 언표는 이를 정당화하는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을 뿐이었다. 개항기 부민층의 지위나 현실도 전통적 부민층과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서구의 자본가가 부민으로 소개되고 경제주체로서 부민이 주목되었다. 또한 부민층은 개항과 이후의 개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시대변화에 적응하려는 양상도 관찰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백성을 부유하게’ 하자는 논의와 ‘부유한 백성’에 대한 취급 사이에 깊은 간극이 존재하고 있는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미장 안에서 부민의 목적과 수단, 논리구조 등이 근대적으로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교적 언표를 활용해 나라의 부강을 추구하자는 논의를 합리화・정당화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bumin’ has both meanings, which include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as well as ‘rich and wealth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fields of the concept by applying Rolf Reichardt’s methodology of conceptual history to such concept. First of all, the ‘bumin(富民)’ concept o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belongs to Confucian governance theory as the means to the ideal goal of moral edification and enlightenment as well as the realistic goal of the people’s welfare. The concrete methodology of such concept was tax reduction and frugality. In order to make ‘rich and wealthy people’ contribute their property to participate in financial projects such as relief work, the ‘bumin’ theory o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first and educating them later’ was applied. However, in many cases, ‘bumin’ emerged as victims to powerful mens’ exploitation and thieves’ plunder. In contrast, the semantic fields of ‘bumin’ concept during the open port period seem to be d e-Confuc ianized. The logic o 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first and educating them later’ was reversed into the logic of ‘first educ ating the people to enable them to be rich and wealthy later’. In addition, the contents to be educated were changed into Western knowledge and science to be able to promote industries. Furthermore, the goals of ‘bumin’ were replaced from Confucian goals, including righteous virtue, t he people’s welfare, sympathy, and royal politics, to the realistic goals of national wealth and power. The statements derived from Confucianism’s governance theory and moral ethic s were p resented only as t he g rounds f or justifying these goals. Although the position and realty of ‘bumin’ class during the open port period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bumin’ class, Western capitalists were introduced as ‘bumin’ class and ‘bumin class’ was considered as economic actors. Additionally, ‘bumin’ class tried to actively respond to reforms and adapt to the changing times.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deep real gaps between the logic o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and the treatment of ‘rich and wealthy people’. Also, even though there were modern changes in ‘bumin’ class’s purposes, means, and logical structures within the semantic fields, the logic of pursuing rich and powerful nations was still rationalized and justified by utilizing Confucian stat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개항 이전 ‘부민’ 개념의 의미장
Ⅲ. 개항기 ‘부민’ 개념의 의미장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경득(Mun Gyeong-deuk). (2020).19세기 말 ‘부민(富民)’ 개념 의미장의 변화 양상. 민족문화논총, 76 , 39-71

MLA

문경득(Mun Gyeong-deuk). "19세기 말 ‘부민(富民)’ 개념 의미장의 변화 양상." 민족문화논총, 76.(2020): 39-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