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 브랜드 개발
이용수 499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Tourism Brand Using Tourism Resources : Focused from Wonju Cit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재범(Park, Jae-Beo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4(통권 17권), 92~106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사업는 2020년 원주시 관광 자원의 브랜드화 사업의 일환으로 원주시청의 의뢰에 의해 연구 개발한 ‘원주관광 대표 브랜드 개발 및 관광슬로건 콘텐츠 BI 구축’의 개발 과정 및 결과물들을 통해 우리나라 지역의 문화 관광 자원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이를 시각적 표상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 현재 원주시가 가지고 있는 관광 자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원주관광의 아이덴티티를 추출하여 이를 언어화, 시각화하는 과정을 거쳐 브랜드를 개발하였고, 나아가 기존 원주8경 외에 원주시가 추가적으로 관광자원화할 수 있는 요소를 개발하여 인지하기 쉬운 관광브랜드 일환으로써 관광 아이콘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주시의 새로운 관광 브랜드를 통해 원주시가 ‘관광 원주’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As part of the project to brand tourism resources in Wonju in 2020,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request of Wonju City Hall to research and develop the project Development of Wonju Tourism Representative Brand and Building Content BI for Tourism Slogan . And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ject and the result of the project, we would like to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how to structure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in our country and shape them into visual represent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ourism resources currently owned by Wonju City, extracted the identity of Wonju Tourism through this, and developed the brand through the process of linguistic and visualizing them.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ight scenery of Wonju, Wonju City developed additional elements that could become a tourism resource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tourism icon. We hope that the new tourism brand of Wonju Cit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Wonju City to take a step closer to Tourism Wonju.
목차
1. 서론
2. 국내 관광 및 원주시의 관광 현황
3. 원주 관광 아이덴티티 개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제 부여 관광기념품의 다양성을 위한 그래픽디자인 개발
- 공공정보디자인의 비구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중국 시각디자인학과 명칭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연구
- 1인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된 영상디자인의 시청각적 요소에 관한 연구
- 불안 경감을 위한 MRI(자기공명영상) RF 헤드 코일 디자인 제안
- 1인 미디어 입문자들을 위한 촬영 보조 장비 디자인 제안
- 다중지능 성장을 위한 유아통합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21세기 영화 스토리보드, 프리비즈(Pre-visualization) 활용에 대하여 - 보고논문
- 파라텍스트디자인의 감성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지식재산권 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황분석 연구
-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슬로건 패션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트렌드 변화에 따른 이모티콘의 의미 패턴 연구
- 중영문 활자 섞어짜기의 문제
- 참여형 휴먼인지 3I 서비스플랫폼 융합기술 개발 방향 및 비즈니스모델 연구
- 한·중 여성의 승용차 외관색 선호에 관한 연구
- 사설안내표지와 도로안내시설의 연계·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고찰
- 범죄예방을 위한 융복합 제품개발 연구
- 포스터 여백에 나타나는 시각과 상징 유형에 관한 연구
- 게임제작을 위한 디자인 및 프로그래밍 융합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 걸그룹 스포티즘 스타일의 기호학적 분석
- 데포르마시옹 기법을 활용한 사진그래픽 연구
-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한 부산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 숏폼 영상의 경험적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정원 디자인에 나타난 조형 요소와 원리의 시 지각적 인지 관계
- 병원 간호스테이션의 환경 색채 이미지 조사 연구 (I)
-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에 따른 담배 패키지 디자인 요소 분석
- 시대별 음반시장에 따른 음반 패키지 디자인 변화 분석
- 조선 시대 길상(吉祥) 문양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서울시 환경위생차량 이미지개선을 위한 디자인프로세스 연구
- 대학캠퍼스 네거티브 공간이 범죄 불안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황 및 분석
-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포털사이트 사용기록을 통한 동향 연구
-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 브랜드 개발
- 외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 차량실내 공간에 대한 사용자 경험과 인식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블렌디드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 국내 오케스트라 포스터의 전형적 레이아웃 유형 분석 연구
- 서비스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공공미술 활용방안으로서 AR 스마트가이드 제안
- 디자인 씽킹을 통한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 한·중 옥외 공공 분리수거 쓰레기통 디자인 비교 연구
- 국내 지자체 코로나19 웹사이트의 질병 데이터 시각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