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동체의식과 주거환경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이용수 75

영문명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the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Commun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on Residential Mobility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임현정(Im, Hyun-jung) 임준홍(Im, Jun-Hong)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8권 제4호 (통권 제50호), 13~2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민의 주거이동 요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은 주택과 주거환경 그리고 공동체 요인일 것이라는 가설과 두 요인 중 어느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할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색적·기술적 통계분석결과 마을에 대한 인지와 애착심 그리고 신뢰,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활동 등이 높을수록 주거이동의향이 낮고, 현 주거지에서 계속 거주하려는 성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택과 주거환경 만족도 높을수록 주거이동 의향이 낮고 계속적으로 거주하는 의향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가지 요인 중 어느 요인이 주거이동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가를 회귀분석 한 결과, 주거환경 요인보다 공동체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최근 정부가 마을만들기나 도시재생사업 추진에서 공동체를 강조하는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다. 이에, 정부가 추진하는 마을만들기와 도시재생사업은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향에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을만들기 콘텐츠 역시 복지, 문화예술, 교육 등 관심이 높은 분야에서 시작하고, 그 이후 일자리 창출 등과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even the causes of citizen’s residential mobility vary, the most key factors would b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community. Furthermore, research was done from a question that which of two factors would be more influential to residential mo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descriptive analysis, the higher awareness of the village, attachment and trust,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community, and community activity, the lower the tendency to move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staying at current residence. Also, as being satisfied with the hous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people are reluctant to leave and willing to stay at current residence. Especially, according to regression results, it seems that community factors have more impact tha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This result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belongings. This is why the government recently emphasis the community when they promote community building and urban regeneration business. Therefore, the government’s community building and urban regeneration must be done in a way that increases the community belongings. Also, to arouse resi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community building has to start in areas of high interest, such as welfa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fter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be linked to job cre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현정(Im, Hyun-jung),임준홍(Im, Jun-Hong). (2020).공동체의식과 주거환경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8 (4), 13-25

MLA

임현정(Im, Hyun-jung),임준홍(Im, Jun-Hong). "공동체의식과 주거환경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8.4(2020): 1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