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濟州) 고산리유적(高山里遺蹟) 출토(出土) 석족(石鏃)의 형식(形式)과 변화(變化)

이용수 223

영문명
The Types of Stone Arrowheads from Gosan-ri Excavation in Jeju Island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강창화(Chang Hwa Ka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2권,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 고산리 초기신석기문화의 유물조합상은 후기구석기 최말기(12.000 B.P.)에서 신석기초기문화로 이행되는 전환기의 문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고산리문화는 후기구석기의 세석인문화가 지속되면서 초기신석기의 산물인 양면박리 석촉과 원시형 고토기가 출현하는 복합적인 문화양상을 띠고 있다. 고산리신석기문화는 크게 3단계의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전개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기(11,000~10,000 B.P.)는 고산리식섬유질토기[高山里式土器]와 좀돌날[細石刃]·좀돌날몸돌[細石核]·유엽형 첨두기 등이 석기가 공반되고, 2기(10,000~9,000 B.P)는 고산리식토기·압날자돌문토기와 삼각형 첨두기·무경식석촉 등이 함께 나타나며, 3기(9,000~8,000 B.P)는 세선 융기문토기가 출현하고 유경식 석촉은 잔존하지만 좀돌날몸돌은 소멸하는 단계이다. 고산리 석기유물의 형식분류와 통계를 통해 특히 주목되는 것은 후기구석기에서 신석기초기문화로 이행되는 전환기에 등장하는 궁시문화(弓矢文化)의 결정체인 석촉이 전체 성형석기 중 7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다.

영문 초록

To establish a sequence from excavated archaeological evidence in Gosan-ri, Jeju Island, both stratigraphic principles, that is, the law of superposition and the law of strata identified by their contents are applied. Due to unconformities in the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site that resulted from volcanic mold and trass, however, this thesis depends on differences in the various kinds of objects and associations, and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with which the various cultural materials occur. It also compares cultural assemblages in Gosan-ri with those in other archaeological sites in Jeju Island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Cultural assemblages in Gosan-ri show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11,000-10.000 B.P.), the second phase (10,000-9.000 B.P.), and the last phase (9,000-8,000 B.P.). Cultural assemblages in the first phase. like those in Priamur and Primorye in Russia, indicate the transition from Late Quaternary to Early Holocene: micro blades in Late Quaternary are accompanied with arrow points by bifacial pressure retouching and earthenware in Early Holocene. The flake scar burin, that is, typical burin of Late Quaternary is not excavated in Gosan-ri, even though there are few burins with an indeterminate form. Particularly, arrow points, which are so characteristic of bow-arrow cul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Late Quaternary to Early Holocene, are over 70 percent of all lithic tools excava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창화(Chang Hwa Kang). (2009).제주(濟州) 고산리유적(高山里遺蹟) 출토(出土) 석족(石鏃)의 형식(形式)과 변화(變化). 제주도연구, 32 , 1-28

MLA

강창화(Chang Hwa Kang). "제주(濟州) 고산리유적(高山里遺蹟) 출토(出土) 석족(石鏃)의 형식(形式)과 변화(變化)." 제주도연구, 32.(2009):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