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50년대 ‘소설창작론’ 연구

이용수 79

영문명
A Study on Theory of Writting Fiction in the 1950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미정(Lee Mi J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3호, 103~1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설창작론’의 통시적 고찰을 통해 1950년대 출판된 작법류 저서들의 과도기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이무영의 『소설작법』 체계를 분석하여, 해방 이후 대학제도를 통해 학문화되는 이론서의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1950년대 이후 대학제도의 안정화는 예술적 영역이었던 ‘문학’을 어학, 고전, 현대문학의 ‘삼분과 체계’의 학문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현대문학 분과는 어학과 고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분화된 교과과정을 갖지 못했지만, 문학개론, 창작론, 문체론, 문학사 등의 과목이 존재했다. 특히 문학개론과 함께 가장 비중이 있던 과목은 ‘창작론’이다. 문학개론과 달리 예술적 창작행위를 이론화한다는 점에서 ‘창작론’은 예술이라고 여겼던 문학의 개념에 객관적, 분석적 방법론을 구축해야 했다. 1950년대 창작론은 이론화의 체계가 다소 미흡하였으며 학문적 체계화에 대한 의식이 견고하지 못했다. 반면 이무영의 『소설작법』은 창작론이 학문화되는 과정의 이론적 모색을 보여주었다. 이 저서는 “저명한 작가들의 작법을 소개”함으로서 서구소설의 정전을 학습하는 과정을 전경화했고 서구문학론을 규범화했다. 그는 소설 창작 행위를 이론화 하는 과정에서 보편성을 얻고자 작가 행위 사례를 완전히 삭제한 채 개론서에 가까운 창작론을 생산해냈다. 반면 서사구성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소설 구성의 요체인 플롯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작가와 주제의식을 소설과 동일시하면서 저서의 이론적 체계와 상충되는 논의를 보여주었다. 낭만주의적 작가관과 소설의 서사구성의 원리가 상충되는 개론식의 창작론은 1950년대 이론화 과정의 과도기적 모색기의 한 단면을 상징한다. 1950년대 현대문학 이론서의 생산과정은 대학 제도가 형성되고 정비되면서 사후적인 필요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1950년대 창작론은 현대문학 분과이 학문화 과정에서 발생한 과도기적 결과물이다. 창작론은 서구 학문이 유입되고, 그 과정에서 자기 변이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현대문학의 내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현대문학은 서구 문학을 규범화하여 객관적인 분석의 체계를 구성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보편성을 보유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works of Novel Creationism published in the 1950s and analyzes Lee Moo youngs novel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1950s theorem. In the 1950s, modern literature was less important than language and classics at university. There were subjects such as introduction to literature, creation, literary, and literary history.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subjects were the introduction of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creation. Creationism had to study the concept of literature that was understood as art in an objective and analytical way. In the 1950s, the theory of novel creation was somewhat inadequate. On the other hand, Lee Moo youngs novel No. This book has learned about the blackout of Western novels and tried to imitate Western literary theory. This book did not analyze the artists behavior and produced a book close to an introductory book. This book, on the other hand, rejected the plot and emphasized the artist and subject consciousness. This argument contradicts the narrative theory of the novel, which appears to be transitional in the 1950s. The 1950s modern literary theories were produced as needed after college. The creation theory of the 1950s is a transitional result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cultural literacy department. The theory of creation means the inner side of modern literature, in which Western studies are introduced and their identity is sought in the process.

목차

1. 머리말
2. 문학연구로서 창작론의 전개 양상
3. 창작론의 학문화
4. 학문과 예술의 이분화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정(Lee Mi Jung). (2019).1950년대 ‘소설창작론’ 연구. 리터러시 연구, 10 (3), 103-128

MLA

이미정(Lee Mi Jung). "1950년대 ‘소설창작론’ 연구." 리터러시 연구, 10.3(2019): 10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