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後期 記事詩 硏究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Gisasi of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theme of an incident or an accident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정난영(Jeong Nanyou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57輯, 249~28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문 산문 문체로서의 記事는 사관의 이목이 닿지 않은 곳의 사실을 기록한, 野史的 성격을 가진 양식으로 정의되어 있다. 그런데 문집을 보면, 문체로서의 기사를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인 특정한 제목의 형태를 띤 한시가 다수 발견되는데, 본고에서 말하는 ‘기사시’란 이러한 경우, 즉 문체적[體]의 개념에서 접근하여 분류한 작품들을 말한다. 기사시는 내용상 크게 ①개인 일상에 대한 기록, ②특정 지역에서 느낀 소회를 노래한 작품, ③사건·사고를 읊은 시로 나누어진다. 그중 ③에는 사회적 현실을 담는다는 기존의 기사시의 개념과 부합되는 작품들이 포함된다. 또 이는 전란, 자연재해, 사회부조리 등 다루고 있는 소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각각 전란으로 인해 피폐해진 현실, 인간의 무력함, 지배층의 횡포로 인한 백성의 고통을 드러내는 데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다면 내용상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이 작품들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첫째, 당시 사건의 현장을 구체적으로 재현하는 데에 시상이 집중되어 있다. 즉 현장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둘째, 사건에 대한 감회나 정조를 지속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셋째, 보도 및 고발 등의 의도·역할을 견지하고 있다. 그런데 사회적 사건·사고를 읊은 기사시의 이러한 특성은 산문 문체인 기사의 그것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산문 기사는 야사적 성격을 띠고, 다양한 ‘현상’을 전달한다는 특질을 지니며, 해당 사건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함께 서술한다. 산문 기사의 이러한 양상들은 각각 기사시가 사회적 소재를 채택하고, 현장성을 중시하면서 보도·고발의 역할을 하며, 일에 대한 정감을 함께 드러내 사건을 개인화·주관화하여 전달한다는 점과 상통한다. 또 한 가지 여기서 중요한 지점은 사회적 사건·사고를 대상으로 한 기사시 작품들이 16세기 이후부터 출현했다는 것이다. 이 작품군의 등장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이때가 바로 ‘기사’라는 용어가 문체의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산문 기사가 문학사에 나타난 시기이기 때문이다. 앞서 정의한 기사시 작품의 내용 및 특성들과 등장 시기 등 전체적인 양상을 종합해보면, 본고에서 다룬 작품들에는 기사의 문체적 인식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적 현상을 드러내고자 하는 문체로서의 기사가 지닌 기본적인 욕구는 각 상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기사시가 활용되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Gisa, one of the styles of Hanmun prose, is defined as a form that records the unconcerned or unofficial affairs. In the collections of literati, there lies a lot of Hansi in the form of title,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that defines what Gisa is as a style. The Gisasi referred to in this study are the poems that were classified within this conception. Gisasi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ersonal daily records, records of the impression at particular regions, records of an incident or an accident. The last includes the works that correspond to the original conception of Gisasi that reflects social reality. It could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such as the war, natural disaster, or social irregularities that focus on revealing the damaged remains of the war, the weakness of the human, the suffering of people from the tyranny of the ruling class. The poems in this group contain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poetic conception is mainly focused on reproducing the exact scene of the incident to ensure realism. Second, the sentiment towards the event is continuously displayed. Third, the intention or purpose of the writing is to legitimately report and accuse the incident. These features of Gisasi, which recites social incidents and accid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Gisa as a prose. The nature of Gisa is fundamentally unofficial, but it reports various ‘phenomena’ while also delivering personal response towards the event. Each feature of Gisa reflects that of Gisasi: the main subjects selected should be within social matters; the works report and accuse the incident while emphasizing realism; the event is personalized or subjectivized by revealing the sentiment of the author. Meanwhile, the consideration should also include that the Gisasi of social episode or accident appeared since the 16th century. Because it was even before the term ‘Gisa’ was considered to be a style of writing, or Gisa - the prose - were produce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tylistic recognition was applied to the works, considering the features of Gisasi and the period of time it appeared. Gisa, as a style of writing, required various writing forms to reflect and deliver each situation efficiently, and that was why Gisasi was employed.

목차

1. 논의의 출발점
2. 기사시의 개괄과 현황
3. 사건·사고를 읊은 기사시의 제 양상
4. 기사시의 성격과 산문 기사와의 관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난영(Jeong Nanyoung). (2020).朝鮮後期 記事詩 硏究. 동양한문학연구, 57 , 249-286

MLA

정난영(Jeong Nanyoung). "朝鮮後期 記事詩 硏究." 동양한문학연구, 57.(2020): 249-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