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東稗洛誦』의 전대 이야기 수용 양상

이용수 106

영문명
Acceptance of previous stories of 『Dongpaeraksong(東稗洛誦)』 - Focusing on 「Park Jinheon(朴震憲)」 and 「Yangsaeon s Mother(楊士彦 母親)」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정출헌(Chung ChulHeon) 김준형(Kim JoonHyeo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57輯, 287~32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동패락송』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된다. 노명흠이 사대부들의 이야기판에 빈번하게 끼어 거기서 주고받은 이야기를 메모하였다는 洪樂受나 洪龍漢 등의 기록은 이 의문에 대한 전제로 작동한다. 그들이 주고받은 이야기가 무엇이고, 노명흠은 그 이야기를 어떻게 기록하였는가? 전자는 직접적인 자료가 발굴되지 않는 한 불가능한 시도다. 그러나 꼭 그런 것만도 아니다. 『동패락송』에 수록된 이야기에 주목하되, 그 이전에 향유되었던 각종 문헌[문집, 야사, 필기 등]에 실린 작품과 대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厚齋集』에 수록된 「朴震憲」과 『撫松小說』에 수록된 「楊士彦 모친」 등은 『동패락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이 글은 두 작품이 어떻게 『동패락송』에 수용되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핀 것이다. 「박진헌」은 전대 문헌에 수록된 작품이 구비전승과 문헌전승 두 측면 모두를 아우른 독특한 방식으로 향유되는 도정에서 생성된 작품임을 확인시켜주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하고 있다. 이로써 보면 야담의 창조적 메커니즘이 ‘구연화 과정’에 있음에도 그것이 문헌의 재확산을 통한 전승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양사언 모친」은 전대 문헌을 수용하였지만, 문헌전승의 골간만 유지하고 내용의 상당 부분은 창작에 가깝다고 볼 만큼 작가로서의 면모가 강했음을 확인하였다. 「박진헌」이 편자에 가깝다면, 「양사언 모친」은 작가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보면 『동패락송』은 초기부터 다양한 형태로 채록되고 정리되었음을 확인케 한다. 물론 이 글에서 다룬 작품이 두 작품뿐이어서, 거기서 얻은 결론을 두고 『동패락송』 전체로 확장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그렇지만 적어도 17세기말 이후 야담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실증적인 작업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tems from the ques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Dongpaeraksong』. Records such as Hong Rak-su(洪樂受) and Hong Yong-han(洪龍漢) that Noh Myung-heum frequently intervened in the storytelling-site of his grandfathers and took notes of the stories they exchanged there act as a premise for this question. What is the story they exchanged, and how did Noh Myung-Hum record the story? The former is an impossible attempt unless direct data are discovered. But it s not necessarily like that. One method is to pay attention to the stories contained in the 『Dongpaeraksong』, but to contrast them with the works published in various literatures[a collection of works, an unofficial history, pilgi, etc.] enjoyed before that time. 「Parkjinheon(朴震憲)」 in 『Hujaejip(厚齋集)』 and 「Yangsaeon s Mother」 in 『Musongsoseol(撫松小說)』 are works that directly influenced 『Dongpaeraksong』. This article examines empirically how the two works were accepted in the 『Dongpaeraksong』. 「Parkjinheon」 provides an important key to confirming that the works contain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ere created in a unique way that was enjoyed in a unique way that encompassed both oral and documentary transmissions.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ough the creative mechanism of Yadam is in the narrative process , it is a transmission through the re-spread of literature. 「Yangsaeon s Mother」 has accepted previous literature,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his aspect as a writer was strong enough to maintain only the framework of the literature transmission and consider that much of the content is close to creation. If 「Parkjinheon」 is more like a compilation, 「Yangsaeon s Mother」 is more like a wri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Dongpaeraksong』 has been recorded and organized in various forms from the beginning. Of course, there are only two other works in this article, so it is dangerous to extend the conclusions obtained thereto to the entire 『Dongpaeraksong』. However, it can be given a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empirical work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yadam at least after the end of the 17th century.

목차

1. 문제제기
2. 전대 문헌의 수용과 「朴震憲」
3. 문헌 전승과 허구의 확장, 그리고 「楊士彦 모친」
4.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출헌(Chung ChulHeon),김준형(Kim JoonHyeong). (2020).『東稗洛誦』의 전대 이야기 수용 양상. 동양한문학연구, 57 , 287-321

MLA

정출헌(Chung ChulHeon),김준형(Kim JoonHyeong). "『東稗洛誦』의 전대 이야기 수용 양상." 동양한문학연구, 57.(2020): 287-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