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와 구직기간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29

영문명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Job Experience and Duration to First Job in Colleg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조장식(Jang Sik Cho)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7 No.1, 183~19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와 첫 직장의 구직기간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경험한 일자리 수와 관련성 있는 독립변수를 탐색하였다. 계수자료(count data)에 대한 모형으로 포아송 회귀모형(Poisson regression model),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 음이항 회귀모형, 영 과잉 음이항 회귀모형 등 4개의 모형을 설정하여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였다. 또한 첫 직장 구직기간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Cox의 비례 해자드 모형(Cox 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에 대한 최적모형으로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이 선택이 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에 비해서 남자가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수가 작았으며, 전문대에 비해서 4년제 대학에서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연령은 25∼30세 사이에서 경험한 일자리 수가 가장 많으며, 평균평점이 높을수록 작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격증수가 많을수록 경험한 일자리 수가 증가하며, 사립에 비해서 국립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졸업 후 첫 직장의 구직기간에 대한 주요 결과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서,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가 많을수록, 평균평점이 높을수록, 자격증 수가 증가할수록 졸업 후 첫 직장으로 탈출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study determinants of the total number of job experience and duration to first job in university using by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09). We set the four models such as Poisson regression model, zero-inflated Poisson model, negative binomial model and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as selected as the optimal model, the main result of the impact on the number of job experience of college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jobs, male experienced in college was small in comparison to female. Second, the number of jobs experience for university is more than the one of college. Third, there is job number one experience in college tend to have increasingly lower GPA (grade point average) up. Also we use Cox s proportional hazard model to analysis duration to first job. The main result of the impact on the duration to first job are as follows. First, male are more likely than female to escape into employment. Second, the greater the number of job experience in college, the higher GPA,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icenses was higher chance of escape as first job after graduation.

목차

1. 서론
2. 데이터 소개
3. 의사결정나무 분석
4. 재학 중 일자리 수 결정요인 분석
5. 첫 직장 구직기간 결정요인 분석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장식(Jang Sik Cho). (2015).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와 구직기간 결정요인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 (1), 183-194

MLA

조장식(Jang Sik Cho). "재학 중 경험한 일자리 수와 구직기간 결정요인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1(2015): 183-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