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노인여성의 우울 및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5

영문명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on Elderly Women 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유하나(Hana Yoo) 한혜율(Hye-Yul Han) 오혜미(Hae Mi Oh) 박미정(MiJeong Park)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7 No.1, 469~48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여성의 가족의사소통, 가족결속력,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확인과 우울 및 삶의 질에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와 W시의 2개 노인종합복지관 등록된 65세 노인여성들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7일부터 7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211명의 자료는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계수, 동시입력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가족의사소통, 가족결속력, 우울 및 삶의 질은 점수가능 범위 1~5점 중 각 2.72점, 2.75점, 3.10점, 2.89점이었다. 둘째, 교육수준, 종교, 동거가족, 가족의사소통, 가족결속력을 포함한 우울 예측모형의 설명력은 17.4%였으며(p<.001), 가족결속력(p=.012)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나이, 교육수준, 종교, 직업, 동거가족, 우울, 가족의사소통, 가족결속력을 포함한 삶의 질 예측모형의 설명력은 19.2%였으며(p<.001), 가족의사소통(p=.017)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가족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노인여성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가족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plain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omen.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211 elderly women from 2 elderly welf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7 to July 26, 2014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core for subject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2.72, 2.75, 3.10, and 2.89 on a 1 to 5 point scale.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pression prediction model including academic qualification, religion, cohabiting family,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was 17.4%, and family cohesion was found to be major impact variables.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quality of life prediction model including age, academic qualification, religion, occupation, cohabiting family, depression,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was 19.2%, and family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major impac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materials supporting the necessity to approach family members in order to alleviate elderly women’s depressio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하나(Hana Yoo),한혜율(Hye-Yul Han),오혜미(Hae Mi Oh),박미정(MiJeong Park). (2015).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노인여성의 우울 및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 (1), 469-483

MLA

유하나(Hana Yoo),한혜율(Hye-Yul Han),오혜미(Hae Mi Oh),박미정(MiJeong Park).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노인여성의 우울 및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1(2015): 469-4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